광주・전남 '초광역권계획위원회' 출범...5극3특 전략 공동 대응
시‧도 15명씩 총 30명…5차 국토종합계획 초광역계획 수립 본격화 2040년 목표 장기 계획 수립... 단일 경제권·산업벨트 구축 기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1일 광주시청 중회의실에서 '광주·전남 초광역권계획위원회'를 공동 출범시키고 이재명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전략인 '5극3특'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에 나섰다.
두 시·도는 ‘국토기본법’ 제12조의2에 근거해 다양한 분야의 학계, 산업계, 정책 전문가, 시·도 관계자 등을 중심으로 시·도별 각각 15명씩 총 30명으로 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날 회의에 앞서 위촉직 위원 20명에게 위촉장을 수여했다.
위원장은 두 시·도 부단체장이 윤번제로 맡게 되며, 2025년에는 광주시 행정부시장이, 2026년에는 전남도 행정부지사가 담당한다. 부위원장으로는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호선으로 선출됐다.
위촉 후 진행된 제1차 회의에서는 광주연구원과 전남연구원이 공동으로 수행 중인 ‘초광역권계획 수립 연구 중간보고’가 이뤄졌고, 위원들의 심도있는 질의와 정책 제언이 활발하게 진행됐다.
이번에 수립될 '초광역권계획'은 2026년부터 2040년까지를 목표로 하는 장기 계획으로,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 반영될 예정이다.
두 시·도는 △공간구조 재편 △교통·물류 인프라 확충 △산업·관광·문화 융합 △혁신 인재 육성 전략 등을 중심으로 실효성 있는 지역 맞춤형 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다.
계획이 수립되면 향후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정계획’에 반영돼 중앙정부 차원의 정책 연계가 가능하고, 광역교통망 확충을 통해 두 지역이 '단일 경제권 및 생활권'으로 묶이고, 미래 첨단산업 기반의 산업벨트가 육성되는 등 공동 추진 과제들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전남 초광역권계획위원장인 은 "위원회 출범은 광주·전남 상생을 위한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위원회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수도권 중심의 1극 체제를 극복할 동반 성장의 마스터플랜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명창환 전남도 행정부지사도 "광주시와 협력해 5극3특 정책에 맞는 초광역권계획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전남=문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