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여야 대표 회동…민생 협치 기대감 속 불씨 여전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합의, 정례 소통 약속 이 대통령 "민생 공통 공약은 과감히 시행" 당부 정청래 "내란 무관용" vs 장동혁 "거부권 행사해야" 특검 갈등은 여전한 '불씨'…협치 기대감 속 우려 여전

2025-09-08     설인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 참석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가 악수를 하며 웃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8일 가진 회동에서 민생 중심 협치 테이블을 띄우고 정례 소통을 약속하며 협치 기대감을 높였다.

이번 회담은 경직된 여야 관계 해소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특검 수사와 여당의 개혁안 강행을 둘러싼 갈등의 불씨가 여전히 남아 있어 정치 복원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와 오찬 회동을 가졌다. 이 자리엔 대통령실 강훈식 비서실장과 우상호 정무수석, 김병욱 정무비서관을 포함해 양당 지도부가 배석했다.


◇ 이 대통령 "모두의 대통령… 공통 공약 과감히 시행"


이 대통령은 "모두의 대통령"임을 강조하며 민생 공약 실현을 위한 공통 분모를 실행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여야 대표도 이에 긍정적으로 응답하며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이어갔다. 

이 대통령은 "야당도 주요한 국가 기관"이라며 "여야 공통 공약과 민생 과제는 과감히 함께 시행하자"고 말하며 협치를 독려했다. 장 대표에게는 추가 발언 기회를 주는 등 배려의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 대통령은 "저는 민주당 출신 대통령이긴 하지만 이제는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돼야 한다"며 "지지층의 목소리에 치우치기 쉽지만, 야당도 나라 살림을 책임지는 중요한 한 축"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최근 한미정상회담 등 외교 현안을 언급하며 "서로 용납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공통 공약을 과감히 같이 시행하자"며 "국민과 국가 모두의 이익에 관한 사안은 한 목소리를 내면 좋겠다"고도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가진 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 여야 기싸움 속 '악수'..."내락 척결" vs "거부권 행사" 


취임 초부터 "내란 세력과 악수하지 않겠다"며 날 선 태도를 보여온 정청래 대표도 이날 장 대표와 손을 맞잡았다.

운은 국민의힘 장 대표가 먼저 띄웠다. 장 대표는 "정 대표와 악수하려고 마늘과 쑥을 먹었는데, 100일이 되지 않았는데 악수에 응해 주셔서 감사하다"고 말했고, 정 대표는 "뒤늦게나마 당선되신 것을 축하드린다"고 답하며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다만 여야 간 첨예한 갈등 현안도 빠지지 않았다. 정 대표는 "내란에 가담한 내란 우두머리와 주요 임무 종사자, 부화수행한 내란 세력들을 철저하게 척결하고 처벌의 역사의 교훈으로 남겨야 한다"며 기존의 강경한 입장을 재확인했다. 

정 대표는 그럼에도 외교·안보·국방 분야에 대해서는 다소 누그러진 태도를 보였다. 정 대표는 "초당적 협력이 필요하다", "향후 건설적인 여야 대화가 복원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거칠지만 대화의 문은 일단 열었다는 평이다. 

장 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민주당이 추진 중인 '3대 특검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재의요구권) 행사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확답을 내놓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오찬 직후 진행된 단독 비공개 회동에서 장 대표가 제안한 청년고용 정책과, 주식양도세 대주주 기준 상향 등 구체적 민생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 검토하겠다"며 공감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 민생경제협의체 구성 합의...대립 국면은 지속 전망 


이 대통령은 회동 말미에 "오늘의 자리가 쉽지 않게 마련됐지만 앞으로도 자주 뵙길 바란다"며 정례 회동 의지를 피력했다. 정 대표를 향해서는 "여당이신데 더 많이 가지셨으니까 좀 더 많이 내어주시면 좋겠다"며 여야 협상에서의 양보를 당부하기도 했다.

이날 회동에서 여야 대표는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했다. 민주당 박수현 수석대변인과 국민의힘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회담 직후 공동 브리핑에서 "형식만 갖춘 보여주기식이 아니라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는 테마가 있는 협의체가 돼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설명했다.

여야는 이번 회담을 기점으로 협의체 실무 논의에 속도를 내며 공통 공약의 우선순위를 조율할 전망이다. 다만 특검 수사와 쟁점 법안 처리 문제는 여전히 불씨로 남아 있어 당분간 대립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쟁의 불씨가 완전히 꺼지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관측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