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ICT 수출 229억달러…역대 최대치 경신, 사상 최대 실적 반도체가 견인
8월 우리나라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증가를 기록하며 무역수지 흑자가 103억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면서 ICT 전체 수출도 8월 기준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일, 2025년 8월 ICT 수출이 228억7000만달러(약 31조원)로 전년 동월 대비 11.1%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수입은 125억3000만달러(약 17조원)로 7.6% 늘었으며, 무역수지는 103억4000만달러(약 14조원) 흑자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가 151억1000만달러로 전년보다 27% 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D램과 낸드 등 메모리 반도체 단가가 꾸준히 상승한 데다,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로 고성능 메모리(DDR5, HBM 등) 수요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통신장비 역시 미국과 멕시코를 중심으로 전장용 수요가 늘어나 1억9000만달러를 기록, 1.8% 증가했다.
반면 디스플레이는 TV·모니터·모바일 등 전방산업 부진으로 18억2000만달러로 9.4% 감소했다. 특히 LCD 수요 둔화와 단가 하락으로 26% 줄었고, OLED도 TV·모니터 수요 부진으로 4.9% 감소했다. 휴대폰 수출은 13억3000만달러로 15.4% 줄었다. 완제품은 신제품 출시 효과로 4.5% 증가했으나, 부분품이 20.5% 급감하며 전체 감소세로 돌아섰다. 컴퓨터·주변기기 역시 전년도 SSD 급증의 기저효과로 13억4000만달러로 16.6% 감소했으나, 중국과 네덜란드 등 데이터센터 수요가 이어지며 감소폭은 완화됐다.
지역별로는 대만 수출이 36억달러로 65.6% 급증했다. 반도체와 컴퓨터·주변기기가 수출을 이끌었으며, 특히 DDR5·HBM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가 급성장했다. 베트남은 반도체 호조로 38억6000만달러를 기록하며 18% 증가했다. 중국(홍콩 포함)도 반도체 수요 회복에 힘입어 83억4000만달러로 소폭 증가했으나,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부진으로 증가폭은 제한적이었다.
유럽연합(EU)은 반도체 수출이 53% 급증하면서 13억달러로 8.2% 증가했고, 일본도 3억3000만달러로 3.9% 늘었다. 반면 미국은 주요 수출 품목인 컴퓨터·주변기기가 크게 줄며 23억3000만달러로 9.9% 감소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반도체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전체 ICT 수출을 견인했지만, 여전히 특정 품목 의존도가 높다는 점은 구조적 위험 요인”이라며 “AI·데이터센터 중심의 반도체 수요 확대에 맞춰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통신장비·소프트웨어 등 다른 ICT 품목의 수출 다변화도 병행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