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 “금융 대전환” 선언
조직개편 파고엔 “공직자의 책무” 강조
이억원 신임 금융위원장이 ‘금융 대전환’이라는 기치를 내걸고, 금융의 방향성을 세 가지 축으로 제시했다. 바로 △생산적 금융 △소비자 중심 금융 △신뢰 금융이다. 공식 취임사에서는 최근 논란이 된 조직개편에 대한 언급을 자제했지만, 직원들에게 전한 편지에서는 “최종 결정은 따라야 할 공직자의 의무”라며 수용 의사를 밝혔다.
15일 이 위원장은 취임사를 통해 “한국 경제의 미래를 위해 금융이 과감하게 방향을 틀어야 할 시점”이라며 “지금까지 금융은 담보 기반의 손쉬운 방식에 안주하며 부동산 중심의 자금 편중과 가계부채 누적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정부가 추진 중인 150조원 규모 ‘국민성장펀드’와 관련해 “첨단 전략산업과 그 생태계에 대규모 맞춤형 자금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 그는 아울러 “과도한 안정 지향의 건전성 규제와 검사·감독 제도가 부동산 쏠림을 유도하고 있지는 않은지 재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취약계층 지원 강화도 주요 축으로 꼽혔다. 이 위원장은 “서민금융안정기금 신설을 통해 자금 지원을 늘리고 금융 부담을 완화하겠다”며, 연체자 지원에 대해서도 “과감하고 신속한 채무조정을 통해 경제적 복귀를 돕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연체 관리·채권추심 등에서 부당한 관행이 없는지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반복되는 금융사고 문제와 관련해서는 “금융상품 판매 과정 전반을 소비자의 눈높이에서 점검하겠다”며, 실질적인 사전 보호 장치와 함께 사후 구제 및 분쟁조정 기능 강화도 예고했다.
이 위원장은 금융시장 안정이 금융당국의 최우선 책무임을 강조하며 ‘신뢰 금융’을 세 번째 기둥으로 제시했다. 그는 “가계부채,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구조개편이 필요한 주력 산업 등 각종 리스크를 면밀히 점검하겠다”며 “필요할 경우 선제적이고 과감한 시장안정조치를 주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공식 취임사에는 조직개편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이 위원장은 취임식 직후 직원들에게 편지 형식으로 별도 입장을 전했다. 그는 “조직개편 소식에 따른 혼란과 불확실성, 개인의 삶에 미칠 영향을 충분히 공감한다”며 “공직자로서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그것을 따르는 것이 책무이자 의무라는 점도 외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조직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어도, 금융 안정과 발전을 통해 국민경제에 기여해온 우리의 가치와 사명은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며 내부 동요 진화에 나섰다. 기자실을 찾아서도 “직원들이 가장 힘들고 혼란스러워하는 시기인 만큼 그들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끝까지 챙기겠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재정경제부로 이관하고, 남은 조직은 금융감독위원회로 전환하는 조직개편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금융위 내부에서는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 위원장은 취임사 말미에서도 “주말·밤낮을 가리지 않고 헌신해온 여러분들의 노고를 잘 알고 있다”며 직원들을 격려했다. 동시에 “금융위에 대한 시장과 국민의 기대는 여전히 높다”며, 기존의 책무에 대한 책임감을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