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정부, 엔비디아 반도체 UAE 수출 5달째 지지부진…젠슨황 "답답"
엔비디아의 최첨단 AI(인공지능) 반도체를 아랍에미리트(UAE)에 연간 수십만개 수출해주겠다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약속이 다섯 달째 지켜지지 않고 있다.
미국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일(현지시간) UAE에 엔비디아 반도체를 공급하는 수십억달러 규모의 계약이 올해 5월에 발표된 이후 아직도 이행되지 않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속을 태우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5월 중동 순방에서 UAE로부터 AI와 관련한 대규모 투자를 받는 대가로 첨단 AI 반도체를 수출하기로 약속했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UAE 등에 수출한 미국산 AI 반도체가 중국으로 건너갈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설정됐던 '수출 한도'를 풀어준 합의였다.
그럼에도 이 합의가 이행되지 않은 것은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엔비디아에 수출 허가를 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러트닉 장관은 UAE가 데이터센터 투자·건설 등 앞서 약속한 투자를 먼저 마무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관련 논의로 인해 수출이 지연되는 중이다.
WSJ에 따르면 한 고위 당국자는 수출과 투자의 비율을 1대 1로 정하는 합의가 추진되고 있다며 UAE가 연말까지 최소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상당의 엔비디아 반도체를 받으면 UAE는 미국에 최소 10억달러를 보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 등 일부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이 지난 여름 UAE가 중국과 가깝다면서 안보 위험을 제기하기도 했는데, 이같은 판단도 수출 지연에 영향을 미쳤다고 WSJ은 전했다.
그러면서 WSJ는 반도체 수출을 놓고 UAE와 진행한 논의가 트럼프 행정부가 외국에 미국 투자를 압박한 최신 사례라고 짚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과의 무역 협상에서 5500억달러(약 776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확정 지었는데, 해당 투자금은 미국이 투자할 사업을 결정하면 현금으로 납입해야 하는 등 지출과 이익 공유 조건이 미국에 매우 유리하게 설정돼 있다.
미국은 일본에 이어 한국과도 3500억달러(약 483조원) 규모의 투자를 구두로 합의했는데, 일본이 서명한 투자 합의와 유사한 조건을 수용하라고 압박하는 중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