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공사 드론 98대, 조종 인력은 18명뿐… 절반 이상 방치
인력 부족 탓에 드론 상당수 1년째 미운영 추정 문진석 "드론 교육 확대·운영인력 확충으로 안전 확보해야"
공공기관의 드론 활용이 늘고 있지만, 한국도로공사는 인력 부족으로 드론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시갑·국토교통위원회)이 한국도로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도로공사는 총 98대의 드론을 보유하고 있으나 이를 실제로 운용할 인력은 18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도로공사는 2종(77kg) 21대, 4종(250g~2kg) 58대 등 총 98대의 드론을 보유해 교량점검 및 교통순찰 등에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을 직접 운용할 인원은 교량점검 담당 15명, 교통순찰 담당 3명뿐이며, 특히 교통순찰 인력은 충남 지역 3명을 제외한 전국 7개 권역에는 전혀 배치되어 있지 않다.
권역별로도 보유 대수와 인력 간 불균형이 뚜렷하다. 경북 지역은 드론 20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점검 인력은 2명뿐이며, 서울·경기권 역시 19대의 드론을 보유하고도 운영 인력은 2명에 그친다. 인력이 가장 많은 충남조차 드론 11대에 운영 인력은 5명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점검 실적도 부진하다. 2024년 교량점검은 전국 120개교에서 이뤄졌으나, 경북의 경우 드론 20대 중 12개교만 점검했고, 경남 역시 13대 보유에 12개교 점검에 그쳤다. 드론 대수보다 점검 건수가 적어 상당수 드론이 1년 동안 단 한 차례도 운용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들어서도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2025년 6월까지 실시된 교량점검은 56개교로, 전년보다 실적이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부족으로 인한 드론 활용 저조가 도로 안전점검 공백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문진석 의원은 "다른 기관과 비교해도 도로공사의 인력과 점검 실적이 모두 부실한 수준"이라며 "직원들의 드론 운영 교육을 확대하고, 활용 실적을 늘려 안전점검의 실효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