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벼랑 끝 철강도시 광양,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해야"

산업부 현지 실사단에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설명

2025-10-21     문미선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실사위원위원들이 21일 광양시에서 철강산업의 구조적 위기 상황을 점검하기 위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현지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남도

전남도가 전국 최고 수준의 철강산업 편중 지역인 광양의 구조적 위기 상황을 설명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하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강력히 요청했다.

21일 전남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공무원과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실사위원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현지 실사가 진행됐다.

실사단은 광양국가산단의 주요 철강기업인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대성에스엔엠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했다. 이후 기업과 지자체 간담회를 통해 철강산업의 경영 애로와 지역 경제의 어려움을 직접 청취했다.

광양은 생산의 88.5%, 수출의 97.6%, 고용의 9.7%를 철강산업에 의존하는 등 전국 최고 수준의 산업 편중이 심각한  지역이다. 최근 글로벌 공급과잉, 중국산 저가재 유입, 내수 부진 등으로 철강 제품 수요가 급감하면서 지역 산업 전반이 위축되고 있다. 특히 중소 협력업체들의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격히 하락하고, 고용감소와 청년층 인구 유출로 지역경제 침체가 가속화하고 있다.

전남도와 광양시는 이러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협의체를 구성하고,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연구용역 및 중소기업 대상 수요조사를 하는 등 다각적인 대응책을 추진해 왔다.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에 지정되면 국가와 지자체는 주된 산업에 대해 지정 기간 2년 동안 △자금·융자 등 금융·재정 지원 △연구개발과 성과사업화 지원 △국내 판매, 수출 지원과 경영·기술·회계 관련 자문 △재직근로자의 교육훈련과 실직자·퇴직자의 재취업교육 등 고용안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비율 우대,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우대 등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광양은 국가 철강 생산의 3분의 1 이상을 담당하는 핵심 산업 거점이지만, 글로벌 경쟁 심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 고금리 등 복합 위기에 직면했다”며 “이번 현지 실사를 계기로 정부가 지역 위기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 반드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해주길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지난 9월 산업통상자원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공식 신청했으며, 향후 산업위기대응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전남도는 산업부, 광양시, 지역 기업과 긴밀히 협력해 철강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전남=문미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