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현대차·네이버, 엔비디아 GPU 기반 AI팩토리 조성
네이버 6만장 외 각 사 5만장, 정부도 5만장 공급받아 제조·모빌리티·반도체·통신 분야별 AI 전환 추진 정부는 소버린AI에 활용, AI스타트업 지원 LG도 엔비디아와 엑사원 등 AI 생태계 개발 협력
삼성전자, SK, 현대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이 엔비디아 최신 GPU를 공급받아 AI팩토리를 함께 조성한다. 정부도 GPU를 받아 소버린 AI 등에 활용한다. 이들은 엔비디아로부터 총 26만장의 GPU를 확보, AI 인프라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신 블랙웰 GPU(GB200 등)를 포함해 총 26만장을 한국에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 5만장,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이 각 5만장, 네이버클라우드가 6만장을 공급받는다.
AI 팩토리 투자 규모는 GPU 가격과 인프라 구축 비용을 포함해 최대 14조원으로 추산된다.
각 기업은 GPU를 활용해 자체 AI 팩토리를 구축하며, 제조·모빌리티·반도체·통신 등 분야별 AI 전환을 추진한다.
각 기업은 독립적으로 AI 팩토리를 구축하며, 정부가 받은 GPU 5만장은 공공 AI 인프라와 독자 AI모델 개발에 활용된다.
공동구매처럼 보이지만 개별 기업 및 정부가 개별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일부 분야에선 정부-기업-엔비디아 간 3자 협력(MOU)이 체결됐지만, 이는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력이지 일종의 공동구매 단가 협상은 아니다.
삼성전자는 GPU 5만장을 반도체 제조 최적화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공정 혁신에 쓴다.
SK그룹은 SK텔레콤 중심의 제조 AI 클라우드, SK하이닉스 메모리 최적화에 사용한다. SK하이닉스를 통해 HBM3E 및 HBM4 등 차세대 메모리 공급 파트너십을 이어가는 것이 중요한 축이다. SK텔레콤의 제조 AI 클라우드는 아시아 최초로 엔비디아 옴니버스를 활용한다.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 피지컬 AI 중심의 스마트 모빌리티에 적용하기로 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초거대 언어모델(LLM) 및 AI 서비스 확장에 쓴다.
정부는 국가 AI컴퓨팅센터 설립과 독자 AI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소버린 AI), AI 스타트업 지원 및 기술 생태계 확장 용도로 구체화 됐다.
정부는 현대차그룹과 함께 피지컬 AI 분야에 30억달러 공동투자도 발표했다. 정부는 또 삼성, SK텔레콤과 AI-RAN(6G 통신 AI) 개발도 협력 중이다.
이밖에도 LG전자는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옴니버스), AI 데이터센터 냉각 설루션 (CDU)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협력하기로 했다.
LG AI연구원은 초거대 AI 모델 '엑사원'을 활용해 엔비디아와 함께 국내 AI 생태계(스타트업/학계) 지원에 참여한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