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회장 “AI 병목, 메모리·인프라·솔루션으로 SK가 풀겠다”
SK AI Summit 2025 개막…AI 수요 폭증 속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기업’ 도약 선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SK가 ‘메모리·인프라·AI 활용’ 3대 해법으로 병목현상을 풀겠다고 밝혔다. SK는 반도체, 데이터센터, AI 서비스 전 영역을 연결해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최 회장은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에 나서 “AI 수요의 성장 속도는 폭발적이며, 이를 따라잡기 위해 효율성 중심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SK AI 서밋은 국내 최대 AI 행사로, 반도체와 에너지솔루션, 데이터센터, 에이전트 서비스 등 SK 전 계열사의 AI 경쟁력을 공개하고 글로벌 빅테크와 AI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최 회장은 최근 열린 APEC CEO 서밋에서 “AI가 세계 산업과 경제, 개인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고 언급하며, 기술 혁신과 인프라 확충 없이는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AI 산업의 병목은 메모리 공급, 인프라 효율, 솔루션 완성도에서 비롯된다”며 “SK는 이 세 가지를 고객과 함께 해결하겠다”고 선언했다.
최 회장은 AI 수요 급증의 배경으로 추론(inference)의 본격화, B2B AI 도입 확산, 에이전트 시대의 도래, 국가 간 ‘소버린 AI’ 경쟁을 꼽았다. 그는 “이제 AI가 단순 계산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검증하는 단계로 들어서면서 연산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데이터센터 투자가 올해 6000억달러(약 800조원)에 달하고, 향후 빅테크 기업들의 신규 투자 규모가 이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최 회장은 “AI는 석유나 전기처럼 안정적인 수요 예측이 불가능한 산업”이라며 “폭발적 성장을 이끄는 건 기업과 국가가 동시에 투자에 뛰어든 구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AI는 스킬 경쟁이 아니라 효율 경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와 국내외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통해 비용 절감과 격차 해소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특히 최근 오픈AI로부터 HBM 월 90만장 공급 요청을 받은 사례를 언급하며 “메모리 공급이 병목이 되는 시대가 왔다. 고객에 대한 책임이 곧 SK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내년 청주 M15X 팹을 본격 가동하고, 2027년에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를 완성해 대규모 생산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최 회장은 “용인클러스터 4개 팹이 완성되면 M15X 24개 규모와 맞먹는 공급 능력을 확보하게 된다”며 메모리 공급 확대 의지를 강조했다.
또 그는 데이터센터와 전력, 에너지솔루션까지 통합한 효율적 AI 인프라를 SK가 직접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SK텔레콤과 과기정통부가 조성한 서울 구로 ‘해인(海印)’ 컴퓨팅 클러스터, AWS와 울산 AI 데이터센터, 오픈AI와 협력 중인 서남권 데이터센터를 구체 사례로 소개했다.
최 회장은 “AI 문제는 AI로 해결해야 한다”며 엔비디아와 ‘AI 팩토리’ 협력을 통한 반도체 생산 자율화 계획도 공개했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 GPU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이용해 가상공장을 설계하고, 궁극적으로 AI 기반 완전 자율 생산체제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는 아마존웹서비스의 앤디 제시 CEO와 OpenAI 샘 올트먼 CEO도 영상으로 참석해 SK와 협력 관계를 높이 평가했다. 제시 CEO는 “SK는 아마존의 대표적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했고, 올트먼 CEO는 “AI 비서가 보편화되려면 SK와 같은 인프라 파트너십이 필수”라고 말했다.
최 회장 연설에 이어 정재헌 SK텔레콤 CEO와 곽노정 SK하이닉스 CEO가 AI 인프라 및 컴퓨팅 솔루션 전략을 발표했으며, 엔비디아 팀 코스타 총괄과 카카오 정신아 대표, 앤트로픽 벤 만 공동창업자도 각각 AI 슈퍼컴퓨팅과 AI 에이전트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올해 SK AI 서밋은 글로벌 빅테크와 스타트업, 학계가 함께하는 교류의 장으로 성장했다”며 “SK는 반도체·인프라·모델 중심의 ‘한국형 AI 생태계’를 구축해 글로벌 3대 AI 강국 실현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