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6% 재진입…연말까지 ‘대출 절벽’ 우려↑
은행채·국고채 금리 급등에 혼합형·변동형·신용대출 금리 일제 상승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 인하 규모와 시기, 방향 전환 여부 관찰’ 발언 후폭풍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다시 6%대를 찍으면서 가계 부담이 눈에 띄게 불어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꺾인 데다 집값·환율 불안까지 겹치면서 대출 금리 오름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14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3.930∼6.060% 수준이다. 4대 시중은행에서 혼합형 금리가 6%선을 넘어선 것은 2023년 12월 이후 약 2년 만이다.
두 달 보름 전인 8월 말 혼합형 금리(연 3.460∼5.546%)와 비교하면 상단은 0.514%포인트(p), 하단은 0.470%p 뛰었다. 같은 기간 혼합형 금리의 기준이 되는 은행채 5년물 금리가 2.836%에서 3.399%로 0.563%p 상승한 영향을 고스란히 반영한 결과다.
신용대출 금리도 가파르게 올랐다. 1등급·만기 1년 기준 신용대출 금리는 연 3.520∼4.990%에서 3.790∼5.250%로 상단이 0.260%p, 하단이 0.270%p씩 높아졌다. 이 역시 같은 기간 지표 금리인 은행채 1년물 금리가 0.338%p 오른 데 따른 것이다.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코픽스 기준·연 3.770∼5.768%) 역시 상단이 0.263%p 오르며 상승 흐름에 합류했다. 지표인 코픽스 금리는 불과 0.01%p 오르는 데 그쳤지만, 부동산·가계대출 규제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은행들이 마진을 방어하기 위해 인상 폭을 지표금리 이상으로 가져간 것으로 시장은 보고 있다.
최근 수개월간 시장금리가 뛴 배경에는 통화 완화 기조에 대한 의구심이 깔려 있다. 한국은행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만큼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경계감이 커지면서 은행채를 비롯한 장기물 금리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12일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외신 인터뷰에서 “금리 인하의 규모와 시기, 방향 전환 여부까지 새로운 데이터에 달려 있다”고 언급하면서 서울 채권시장에서 1년물을 제외한 전 구간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 수준을 찍었다. 시장에선 이 발언을 금리 인하 속도 조절, 나아가 인하 중단 또는 재인상 가능성까지 열어둔 신호로 해석했다.
집값과 환율 불안도 대출금리의 상방 압력을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여부가 불투명해진 만큼, 시장금리와 연동된 대출 금리 상승과 가계대출 한도 축소 현상은 적어도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적용되는 상황에서는 금리가 높아질수록 산출식에 들어가는 원리금 상환 추정액이 커지고, 그만큼 차주가 받을 수 있는 최대 대출 가능액은 줄어든다. 같은 소득이라도 금리가 오르면 한도가 더 깎이는 구조다.
실제 KB국민은행은 17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주기·혼합형 금리를 지표 금리인 5년물 금융채 상승 폭(0.09%p)만큼 추가 인상할 계획이다. 이 조정이 이뤄지면 해당 상품 금리는 연 4.11∼5.51% 수준으로 오른다.
KB국민은행뿐 아니라 시장금리를 주 단위 또는 일 단위로 반영하는 다른 시중은행들도 최근 상승한 금융채 금리를 순차적으로 주택담보대출 금리에 반영할 예정이어서, 당분간 차주의 체감 금리 부담은 더 커질 가능성이 크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