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철 배춧값 부담 완화...한 달 새 절반 가까이 내려
김장 재료 전반 ‘숨통’
11월 들어 배춧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올해 김장 비용 부담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름 폭염과 집중호우로 급등했던 가격이 정부의 수급 조정과 물량 방출 효과로 제자리를 찾아가는 흐름이다.
17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11월 2주 배추 한 포기 소매가격은 3392원으로 지난달 6844원보다 50.4% 낮아졌다. 평년(4022원)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배춧값은 2021년 3182원, 2022년 4217원, 2023년 3769원, 2024년 4837원, 올해 4922원 등 매년 오름세를 이어왔지만, 8월 폭염과 집중호우로 2주 차 가격이 7023원까지 치솟은 뒤 안정 국면에 들어섰다.
정부는 추석 전후를 기점으로 비축 물량을 단계적으로 시장에 풀며 수급 회복에 나섰다. 그 결과 10월 중순까지 6000원대를 유지하던 배춧값은 계속 하향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장별로도 변화가 뚜렷하다. 전통시장의 평균 소매가는 한 달 전 포기당 7825원에서 5295원으로 떨어졌고, 대형마트는 할인 행사와 조기 가격 반영으로 6345원에서 2367원까지 하락했다.
주요 김장 재료도 전반적으로 약세다. 11월 2주 기준 소매가격은 무 1751원(평년 2219원), 대파 kg당 2964원(평년 3282원), 양파 kg당 1923원(평년 2294원), 고춧가루 kg당 2만8786원(평년 3만2626원) 등이다. 깐마늘과 생강 가격도 각각 평년 대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배춧값은 지난해 같은 시기(3195원)보다 다소 높지만, 다른 재료 하락 폭을 감안하면 전체 김장 비용은 지난해보다 약 10%가량 낮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