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공천 구걸" 대변인 발언에 화들짝...국힘 지도부 "엄중 경고"

박민영, 김예지 겨냥해 "장애인 할당 많다, 기득권" 장동혁, 대변인단 '입조심' 지시..."언행 관리 필요" 

2025-11-17     설인호 기자
지난 2월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안내견과 함께 참석한 김예지 의원. 연합뉴스.  

국민의힘 박민영 미디어대변인이 유튜브 방송에서 김예지 의원을 비판하며 "장애인을 너무 많이 할당해서 문제"라고 말한 사실이 알려지자 당 지도부가 즉각 제동에 나섰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17일 박 대변인에게 직접 경고 조치를 내리고 당직자 전체에 언행 관리 강화를 지시했다.

국민의힘은 이날 공지를 통해 "장 대표가 박 대변인 관련 보도에 대해 당사자에게 엄중 경고했다"며 "대변인단을 포함해 모든 당직자에게 언행을 각별히 유의하라고 당부했다"고 설명했다. 당 수석대변인인 박성훈 의원도 기자들에게 "(박 대변인의 발언은) 합리적 보수의 기준에 적용해도 부적절한 표현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박 대변인은 지난 12일 한 유튜브 채널에서 김 의원의 비례대표 재선 사실을 문제 삼으며 "장애인 할당이 너무 많다", "눈이 불편한 것을 제외하면 기득권", "배려를 당연히 여긴다" 등의 표현을 사용했다. 이어 "비례 한 번 받았으면 포기해야지 뭔데 지가 두 번을 받냐?", "김예지는 진짜 좋게 볼 수가 없는 게 왜 국민의힘에서 공천 달라고 구걸하냐"는 주장도 이어갔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정국에서 김 의원이 찬탄파로 분류됐던 점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논란이 커지자 박 대변인은 이날 오전 페이스북에 입장을 올려 “과격하게 들릴 수 있는 표현들에 대해선 사과드린다”고 했지만 김 의원에게 직접적인 사과는 하지 않았다. 그는 "장애인이라고 다른 집단에 비해 과대표돼선 안 되며 마찬가지로 특정인에게 과도한 특혜를 줘야 할 이유가 될 수도 없다"며 기존 주장을 유지했다. 또 "뭐만 하면 무지성 혐오몰이 하는 스테레오 타입부터 벗어야 한다"고도 반박했다.

김 의원은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 비례대표 11번으로 당선된 후, 이어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도 다시 비례대표로 당선되며 재선 의원이 됐다. 당 내부에서 비례대표 순번을 배치할 때 '장애인 여성'이라는 상징성과 전략적 고려가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가 신속하게 경고를 내리며 진화에 나섰지만 장애인 비례제의 취지와 당내 약자 배려 문화를 둘러싼 논쟁이 확산하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