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시민 정신건강 관리 ‘한계’ 드러나… 시의회, 맞춤형 정신건강 플랫폼 추진
분절된 관리체계·낮은 스트레스 인지… 맞춤형 통합 시스템 도입 시급
대전 시민 정신건강 관리체계의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면서, 대전시의회가 맞춤형 정신건강 플랫폼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의회 건강하고 안전한 도시연구회는 대전형 개인맞춤 정신건강 통합 플랫폼 및 거버넌스 구축 연구 용역 중간보고회를 열었다고 20일 밝혔다.
보고회에 따르면 시민들의 건강 관심도는 높은 반면, 스트레스 인지 수준이 평균에 머물러 있어 위험 신호를 제때 가려내지 못하는 구조적 허점이 지적됐다.
연구회장 김민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대전의 정신건강 관리 체계는 지금 분명한 한계에 직면해 있다”며 “데이터 기반으로 시민의 상태를 분석하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연구가 향후 연구를 통해 우리 대전 시민들의 건강 관리 체계가 개선·증진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간보고에서는 △대전 시민 정신건강 데이터 분석 △싱가포르·호주·일본 등 해외 사례 비교 △개인정보 보호 및 비대면 진료 규제 개선 방안 등이 집중 논의됐다.
해외 주요 도시는 이미 디지털 상담, 지역사회 연계 시스템을 도입한 반면, 대전은 아직 기본 플랫폼조차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라는 점도 비교 대상이 됐다.
한편, 이번 연구 용역은 대전시 정신건강의 현황·위험 요인을 진단하고, 지역 거버넌스와 통합한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 모델을 설계하는 등 대전 시민 맞춤형 정신건강 관리 체계를 도출할 예정이다. 용역 결과는 향후 대전 시민 정신건강 관리 서비스 정책자료 등으로 활용될 계획이다.
[스트레이트뉴스 대전=최미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