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전문가들 “한은, 내년 성장률 전망 상향 전망”
“수출·내수 회복은 분명하지만 체감은 제한”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할 수정 경제전망에서 내년 실질 GDP 성장률을 기존 1.6%에서 1.8~1.9% 수준으로 높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수출이 예상보다 견조하고 소비도 회복 흐름을 타면서 잠재성장률 수준까지 조정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24일 연합뉴스가 전문가 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올해 성장률 전망을 0.9%에서 1.0%로, 내년은 1.8~1.9%로 상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내년 성장률 전망을 올릴 여지”를 언급한 바 있다. 3분기 성장률이 1.2%까지 오른 영향이 크다.
전문가들은 수출 흐름이 미국 관세 우려에도 꺾이지 않고 있고 소비쿠폰 등 정책 효과로 내수도 살아나고 있다고 평가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올해 1.0%, 내년 1.9%를 전망하며 "수출이 미국 관세 영향을 잘 버티고 있고, 소비쿠폰 효과 등으로 내수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경기가 예상보다 나빠지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조영무 NH금융연구소장은 “성장률 상향의 상당 부분은 기저효과”라며 “하반기부터 체감 회복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내년 미국 관세 영향 확대, 건설투자 부진도 부담 요인으로 꼽힌다.
물가 전망치는 소폭 상향 가능성이 거론된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70원대까지 오르며 수입 물가 부담이 커졌고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도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조영무 소장은 “1%대 물가 안착이 쉽지 않다”고 진단했다. 다만 환율이 안정되면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