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튀르키예서 '광폭 외교' 피날레…정부·여당 후속 조치 나서
중동·아프리카·튀르키예 일정 마치고 오늘 귀국 G20 의장국 수임부터 원전·방산 MOU 민주당 특별법 발의로 지원...국민의힘 연일 항소 포기 공세
이재명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UAE)와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튀르키예 등 중동·아프리카 순방 일정을 모두 마치고 25일(현지시간) 귀국길에 오른다. 남아공 G20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이어진 이번 순방은 경제·안보·첨단산업 협력 전반에서 국익 중심 '실용외교' 기조를 재확인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순방의 첫 목적지였던 UAE에서는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열고 방위산업 협력을 중심으로 전략 협력 강화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이어 방문한 이집트에서는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과 한-이집트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에 합의해 중동·아프리카 시장에서의 경제 협력 기반을 넓혔다.
남아공에서는 G20 정상회의를 통해 글로벌 AI 기본사회와 포용성장을 주요 비전으로 제시하고, WTO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다자무역 체계 복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히 한국이 2028년 G20 의장국을 맡게 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국제적 위상 강화의 이정표를 세웠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순방의 마지막 일정인 튀르키예 방문에서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에 관한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원자력 협력 등 3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대통령실은 튀르키예와의 협력이 '시노프 제2원전 사업' 수주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튀르키예로 향하는 전용기 내 기자간담회에서 "대한민국 외교의 기본 원칙은 한미 동맹을 근간으로 하되 중국과의 관계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라며 "그 근본은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부는 각국과 체결된 MOU와 공동성명이 실제 사업과 투자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세부 이행 계획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규제 개선과 산업별 지원 방안도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요구도 높아지는 상황이다.
정치권 반응은 극명하게 엇갈린다. 더불어민주당은 관련 법안을 준비하며 외교 성과 뒷받침 의지를 드러낸 반면, 국민의힘은 국내 현안 대응 부실을 지적하며 비판 수위를 높였다.
먼저 민주당은 이번 순방의 외교 성과를 높게 평가하며 APEC 성과와 한미 관세협상 후속 지원을 위한 전담위원회를 구성하고 산업별 지원, 규제 개선, 대미투자특별법 등을 발의하기로 했다.
김병기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한민국은 선진·선도국가로 확실히 복귀했다"며 "국익 중심의 실용외교 원칙도 흔들림 없이 유지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업 활동을 뒷받침하는 규제개선과 보완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반면 국민의힘은 최근 용산 대통령실 앞 규탄 집회와 당내 지도부 발언 등을 통해 대장동 항소 포기 사태를 연일 부각하며 공세를 높이는 분위기다. 순방의 외교적 의미를 평가하기보다 국내 현안을 전면에 배치해 대립각을 세우는 접근으로 풀이된다.
장동혁 대표는 지난 24일 국회에서 열린 '대장동 범죄수익환수 특별법 제정을 위한 긴급 토론회'에서 '대장동 범죄수익 환수 특별법은 부패한 권력의 심장을 겨누는 가장 강력한 칼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범죄수익은 지옥까지 쫓아가서라도 돌려받는다는 각오로 반드시 대장동 일당의 범죄수익을 국고에 환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