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이억원 “AI 금융 대전환, 국민성장펀드·스케일업 펀드로 뒷받침”
정부, 5년간 5조원 규모의 스케일업 펀드 조성 추진 금융위원장 “금융권의 AI 대전환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의 촉매제”
이억원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인공지능(AI) 시대 금융산업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되도록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26일 이 금융위원장은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서 “AI 시대 금융산업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되도록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핀테크는 AI와 만나 단순한 기술적 발전을 넘어 개인의 고유한 취향까지 반영해 우리의 삶을 한층 더 풍요롭게 만드는 금융 서비스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억원 위원장은 “이재명 대통령 정부가 국민성장펀드 등을 통해 AI 등 첨단 전략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꾸준히 추진해 왔다”며 “이러한 정부의 노력이 금융산업 구성원들과 함께 큰 시너지를 낸다면 금융권의 AI 대전환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의 촉매제가 될 것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이 위원장은 “AI는 현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국가 전략 과제 중 하나”라며 “금융이 AI 대전환을 뒷받침하는 수준을 넘어, 금융이 AI 대전환을 이끄는 역할을 하도록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국민성장펀드 등 정책·시장 자금을 활용해 AI와 관련 인프라에 대한 초대형 투자를 추진하고, 금융권이 활용할 수 있는 AI 인프라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겠다”며 “편리하고 안전한 AI 금융 서비스 개발과 업무 혁신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핀테크 기업과 같은 벤처기업은 항상 자금 조달이 가장 큰 애로사항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투자 환경을 개선하고 관련 제도를 재정비하겠다”고 예고했다.
그는 “국민성장펀드와 더불어 5년간 5조원 규모의 스케일업 펀드 조성을 추진해 신규 투자를 유도하겠다”며 “신규 투자에 이어 원활한 회수와 재투자가 이뤄지도록 5년간 2조원 규모의 테크놀로지 펀드도 조성해 투자 생태계 전반에 선순환 구조를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 기업의 성장을 돕는 집합투자기구 도입과 증권형 토큰 제도화 등을 통해 핀테크를 포함한 혁신 벤처기업에 대한 자금 흐름의 병목을 줄이고, 자금 ‘관문’ 역할을 하는 제도들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금융위는 앞으로도 맞춤형 금융서비스와 디지털 자산 제도를 통한 ‘지속 가능한 혁신 기반’을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억원 위원장은 “금융에서는 점점 개인 성향에 맞춘 맞춤형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매일 나오고 있다”며 “이런 시장 흐름에 맞춰 혁신적인 서비스가 출발할 수 있는 제도적 첫걸음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과 경영 개선을 위해 개인사업자 정보의 체계적 수집·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개인사업자 마이데이터’를 도입해 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과 전문성을 높이겠다”며 “디지털 자산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과 디지털 금융의 안정적인 혁신을 위해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율체계를 포함한 입법안의 신속한 마련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1일 성황리에 마무리된 2025 APEC 정상회의에서 말한 ‘연결, 혁신, 번영’이라는 키워드는 금융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며 “금융 혁신 역시 이 자리에 모인 핀테크 생태계 구성원 모두가 연결될 때 달성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코리아 핀테크 위크와 같은 장을 통해 지난 10년간 전례 없는 금융 혁신을 이뤄냈고, 이제 AI를 만나 다시 한 번 도약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는 이러한 연결·혁신·번영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외면하지 않고, 우리 모두의 취향과 필요를 반영할 수 있도록 과감한 디지털 전환을 선택하겠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