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안 좋은데 코로나까지…건설 체감경기 '악화'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월 CBSI 68.9로 전월비 3.2p 떨어져 2월 지수로는 7년 만에 가장 낮아…지방·중소 건설기업 BSI 하락 "3월 CBSI 전망치 88.5로 개선 예상…코로나 사태 장기화는 변수"
건설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두 달 연속 하락 곡선을 그리면서 2월 지수(68.9)로는 7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업 체감경기가 두 달 연속 하향 곡선을 그리면서 2월 경기실사지수(CBSI)는 7년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는 68.9로 전달대비 3.2포인트 하락했다고 3일 밝혔다.
CBSI는 지난해 12월 4년 5개월 만의 최대치인 92.6을 기록하는 등 개선되는 조짐이었지만, 올해 1월 72.1로 급락했다. 그리고 2월에는 70선 아래로 떨어졌다. 2월 지수(68.9)로는 7년래 최저치로 건설기업의 체감 경기 상황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CBSI가 기준선(100)을 밑돌면 현재 건설경기 상황을 비관적으로 보는 기업이 낙관적으로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규 공사수주 BSI가 하락(-10.7p)해 지수 하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가운데, 코로나19 사때 또한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는게 건산연의 분석이다.
또 신규 공사수주 BSI가 하락에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수주 잔고 BSI는 오히려 소폭 상승(+0.7p)하였는데,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건설기업들이 일부 공사 착공 및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소기업 BSI가 10.7p 하락하고, 서울(-1.4p)보다는 지방(-5.0p)기업 BSI가 더욱 하락하였는데, 지방 및 중소 건설기업들의 상황이 매우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다만, 3월 CBSI 전망치는 88.5로 전달 대비 큰 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박철한 부연구위원은 “지수가 20p 가까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 것은, 봄철 발주가 증가하는 계절적 영향과 함께 침체된 건설경기 부양책의 일환으로 건설 공사 물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가 함께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될 경우 실제 지수는 그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