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섭 시장 " 광주·전남 통합 방식 시도민이 결정"
광주시의회 시정질문 답변 "광주전남 상생과 동반성장 위한 해법"
[광주-전남=차정준 선임기자] 이용섭 광주광역시장이 최근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광주·전남 행정 통합의 당위성을 재차 강조했다.
이 시장은 19일 열린 광주시의회 시정 질문에서 송형일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에서 "시도 통합은 광주전남의 상생과 동반성장 위한 해법으로 제기한 것이라며 더 늦기 전에 통합논의하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그러면서 통합의 필요성 3가지를 제시했다. ▲수도권 블랙홀에 대응한 국가 균형 발전과 지역 경쟁력 제고 ▲글로벌 선도도시로 발전 전략 ▲소지역주의에서 벗어난 공동 번영과 경쟁력 확보 등이 그것이다.
이 시장은 먼저 '국가균형발전과 지역 경쟁력'에 관해서는 "광주(146만명)나 전남(186만명)과 같은 소규모 지방자치단체로는 수도권 블랙홀과 경제적 낙후와 인구소멸의 문제도 극복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선도도시로 발전 전략'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초광역화나 메가시티는 시대정신이고 세계적인 추세"라며 "지역 단위로 경쟁력을 갖추려면 인구가 적어도 300만-500만 명은 돼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주장"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번영과 경쟁력 확보'에 대해서는 "동일 생활권인 우리 광주전남이 통합하면 자생력과 자립경제가 가능한 단일 광역경제권을 구축하게 되어 지금보다 강력한 경제블록이 형성되고 지방분권도 가능하게 된다"고 전망했다.
이 시장은 최근 시도 통합에 관련해 일각에서 부정적인 의사를 내비친 것에 관련해 "새로운 길을 가는 혁신에는 항상 저항이 있고 힘이 들지만 누군가는 반드시 앞서 가야한다"고 의지를 피력했다.
다만 이 시장의 통합 추진에 대한 지역 기관장들의 접근 태도는 다소 엇갈린다.
이 시장과 달리 김영록 전남지사는 다소 수동적이다. 김 지사는 지난 15일 도의회 본회의장에서 "중앙정부의 대폭적인 권한 이양과 함께 재정 문제는 특별법 제정 등으로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며 본격적인 통합논의는 차기(민선 8기)로 미루자고 제안했다.
장석웅 전남도교육감의 입장은 더 부정적이다. 장 전남 교육감은 지난 15일 전남도의회 도정 질문 자리에서 "교육·사회·문화 인프라와 학원 등이 월등한 광주로 전학 가려고 하는 요구가 많아지면 지역사회로서는 활력을 잃고 고사할 수 있는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장휘국 광주시교육감도 교육적으로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들어 시도 통합에 대해 난색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분위기를 의식한 듯 이 시장은 이날 "지금 바로 통합하자는 것이 아니라 용역 등을 통해 통합논의를 진정성 있게 시작하자는 것"이라며 "전남도와 협의해 통합 논의 기구에서 공동연구 용역을 의뢰하는 방안을 전남도와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시도 통합에 대한 논의절차, 구체적 통합방식, 통합시점 등에 대해서 이 시장은 시도민들의 결정에 따를 일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은 "김영록 지사께서 말씀하신 경제통합이나 메가시티 등도 논의기구에서 자유롭게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며 "원활한 논의와 공정‧투명한 정보제공을 뒷받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 시장과 김 지사는 다음 달 개최되는 시도 상생발전위원회에서 통합문제에 관련해 다시 심도있는 대화를 나눌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