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테일 강자 ‘키움, 미래에셋’, 블록체인 강자 ‘한화투자’ 등 기대
증권성 판별 금감원TF발족…법제화 한걸음 다가가

토큰증권과 디지털자산의 규율체계(출처=금융위원회)
토큰증권과 디지털자산의 규율체계(출처=금융위원회)

지난 3일 금융위가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을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하며 불이 붙은 STO 바람에 관련업계 및 이들과 협력하는 증권사들의 열기가 뜨겁다. 금융감독원은 어떤 가상자산이 증권성을 가졌는지 판단하기 위한 ‘증권성 판단지원 TF’구성을 밝히며 시장 조성을 위한 속도를 높이고 있다. 증권업계의 새 먹거리가 될지 관심이 뜨겁다.

금융감독원은 14일, 가상자산 ‘증권성 판단지원 TF’ 구성을 밝혔다. 윤석열 정부의 공약 중 하나였던 ‘디지털가상자산법’의 구체화 과정에서 국정과제로 채택된 ‘디지털 자산 인프라 및 규율체계 구축’을 반영, 지난 5일 내놓은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에 대한 후속 조치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 달 19일 제6차 금융규제 혁신회의를 통해 증권형토큰 발행(STO, Security Token Offering) 전면 허용 방침을 밝힌 바 있다. 핵심은 공식적인 기반 법률인 자본시장법과 전자증권법에 의거 토큰 증권을 발행, 유통하기 위한 계좌관리기관, 장외거래중개업 신설 등이다.

STO란 실물 자산을 기초로 발행된 ‘증권’에 블록체인 기술이 가미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을 말한다. STO가 관심을 받는 이유는 그간 가치가 너무 커서 유동성이 떨어지던 자산(Asset)의 가치를 여러 투자자가 소액으로 나눠 소유할 수 있도록 해 거래 활성화가 이뤄질 수 있을 거란 기대 때문이다. 대표적인 대상 자산에는 부동산, 미술품, 보석 등 고가 상품이 거론된다.

윤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자 가장 빠른 행보를 보인 곳은 금융지주 계열 증권사들이다.

농협금융지주 계열 NH투자증권은 STO전담조직 구성과 역할(R&R)을 정립하고 외부 조각투자 사업자들과의 협업을 타진해왔다. 내부 인프라 구축 추진에 이어 새로운 정책 동향에 따라 기민한 대응방안 마련을 이어왔다.

KB금융지주 계열 KB증권은 SK C&C와 디지털자산 사업 MOU를 맺고 작년 11월 강점을 가진 채권 기초자산 증권형 토큰 발행 및 거래 테스트를 마친 상태다. 올 상반기 중 STO플랫폼 구축을 위해 개발과 시험을 끝내고 블록체인 기반 ‘온라인 지갑’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신한금융지주 계열 신한투자증권도 빠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블록체인 전담 부서 신설하고 에이판다파트너스, 피어테크, 델리오, 슈퍼블록 등 블록체인 핀테크들과 협업해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 중이다. 올해 출시를 목표로 네트워크 설계와 테스트, STO 플랫폼 기능 검증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6일에는 STO얼라이언스를 출범했다. 토큰 증권 산업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안전한 자산을 토큰화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함께 협업하는 조직이다.

이세일 신한투자증권 블록체인부장은 "토큰 증권은 블록체인 기업 및 금융 기관들이 공동으로 진행해야 하는 비즈니스로 얼라이언스를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안정적인 디지털자산 투자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며 “신한투자증권은 업권에 관계없이 STO 얼라이언스와 신선한 도전을 함께 할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기업들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STO 시장이 개인 중심으로 형성될 거라는 기대 속에 그간 리테일 자산관리(WM) 부문에 강점을 가졌던 회사들의 보폭도 커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래에셋증권은 지난 8일 증권형 디지터자산 사업 조직 설립을 통한 사업화 추진을 밝혔다. 미래에셋은 이미 지난 2021년 7월 전문 인력 중심의 ‘디지털자산 TF’를 발족하고 작년 초 디지털자산 보관(Custody) 업무 등 이른바 ‘코인은행’ 설립 등의 의지를 보인 바 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한국토지신탁과 업무협약을 통해 신탁수익증권 방식 토큰증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내부 시스템 구축중”이라며, “투자계약증권 인프라 개발도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가장 많은 개인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키움증권에 대한 관심도 높다.

키움증권은 작년 8월 내놓은 MTS ‘영웅문S#에 STO거래가 가능하도록 준비 중이다. 지난 연말에는 플랫폼 개발을 맡는 ICT본부 내에 플랫폼기획팀과 채널기획팀을 신설하는 조직개편을 단행하기도 했다.

여기에 리서치 조직 내에 디지털자산기서치팀을 구축, 관련 보고서 생성에 나서고 있다.

 특히 작년 상반기부터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 '비브릭' 사업을 운영 중인 세종텔레콤과 협력하고, 부동산(펀블/카사), 음악저작권(뮤직카우), 미술품(이랜드넥스트/이노플/테사) 등과 협약을 맺는 등 보폭을 넓혀왔다.

부동산 강자로 탈바꿈한 대신파이낸셜그룹을 배경으로 둔 대신증권은 플랫폼 관련 경쟁력 강화 차원에서 아예 카사코리아 인수를 추진에 나선 상태다.

예탁결제원은 향후 증권형 토큰 심사·발행총량 등을 관리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사전 협의를 위한 토큰증권 협의체(ST)를 구성했다. 여기에 참여한 증권사는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신한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SK증권 등이다.

한 증권사 CTO는 “작년 한 해 증권사들의 이익이 급감한 상황에서 정부가 의지를 가지는 신사업에 관심이 커지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해당 사업 자체가 의지만 가지고 되는 사업이 아니고 글로벌 공조에 기반한 법률 정비가 필요한 만큼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된다”고 말했다.

전자증권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이 필요한 과제(출처=NH투자증권)

여기에 법제화를 위해 여야의 합의라는 큰 산이 버티고 있는 것도 쉽지 않은 숙제다.

지난 달 16일 국회 정무위원회가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었다. 하지만 가상자산 시장을 제도권에 편입시켜 관리, 감독 및 투자자보호를 위한 ‘디지털가산자산법’은 논의조차 하지 못하고 끝났다.

해당 법이 윤석열 대통령의 공약임이 공공연히 알려진 상황에서 여당이 논의를 시도했으나 이날은 여야간 합의한 국가보훈처 법안 우선 논의 논리에 밀려 꺼내지도 못했다.

다만 시장의 혼란을 가중시켜온 가상자산 증권성을 판단할 TF가 구성된 만큼 증권성 여부를 발행인과 거래소 등이 판단해 취급하다 논쟁의 소지가 생길 시 당국이 개입할 수 있는 여지와 근거를 만들었다는 측면에서 진일보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장의 혼란이나 투자자 피해 등 부작용이 최소화되는 방향으로 증권 규율체계가 확립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금융위, 가상자산거래소 등과 지속적으로 협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NH투자증권 윤유동 연구원은 “키움증권은 개인투자자에게 인지도가 높아 STO시장 고객 모집에 가장 유리하고 다수 디지털 자산 스타트업과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며, “한화투자증권도 두나무, 람다256과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블록체인 사업을 준비해왔고, STO시장 개화와 함꼐 적극적인 상품 발굴을 계획하고 있어 신사업 부문의 선전을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