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이후 우울증 2배, '극단선택' 상담 2.6배 증가
국회미래연구원, 감염병 유행 이후 다양한 사회변화 분석
"2002년 사스 이후 환경파괴·기후변화 대응 등 혁신 필요"

ⓒ스트레이트뉴스 DB

[스트레이트뉴스=이제항 선임기자] 정부는 지난 11월 30일 코로나19 장기화로 우울감을 느끼는 국민을 위해 '코로나19 대응 자살예방 강화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대책에는 우울감으로 자살을 시도해 응급실을 찾는 '고위험군'을 지원하기 위한 사후 관리 의료기관도 늘리는 방안을 담고 있다.

정부발표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고립감이 지속되면서 우울감을 느끼고 있다는 사람의 지수가 5.86점을 기록해 지난 2018년(2.34점) 대비 두배 이상 증가했다.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기인 지난 8월 경 자살예방센터(전화:1393)에 걸려온 상담전화 건수는 총 1만7천12건으로,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지난해 같은기간(6천468건)에 비해 2.6배나 증가했다.

극단적인 선택을 시도한 사람도 2018년 대비 4.5%, 2019년 대비 0.2% 각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1∼7월 응급실 내원기준).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100만명)를 발판으로 서울아산병원이 분석한 결과에서도 약 5.3%가 우울증을 겪고 있다고 집계됐다.

더욱 우려되는 점은 이같은 '코로나블루'가 개인적 상황을 넘어 불평등 확대나 여성·취약계층 위기 등 사회적 시스템에도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정세균 국무총리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자살예방정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사진=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자살예방정책위원회 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 자살예방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국회미래연구원은 24일 '국가미래전략 Insight, 세계적 감염병 이후 사회 변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감염병 유행 이후 사회적 변화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세계적 학술저널 데이터를 보유한 'SCOPUS DB(사회과학분야)'의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바탕으로 2000년 이후 발발한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19 유행 시기 별 특징적 이슈를 파악했다.

먼저 사스 시기에는 경제적 충격뿐 아니라 '회복력', '사회적 낙인', '심리적 불안' 등 심리적인 변화가 주요 키워드로 언급됐다.

신종플루 시기에는 '빅데이터', '시뮬레이션' 등 감염병 확산의 과학적 분석이 집중적으로 나타났고, 메르스 시기에는 '시민과 정부의 협력',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감염병 정보의 확산이 관찰됐다.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는 지역폐쇄, 가정폭력, 원격 교육,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동물복지, 사람과 동물의 이종 간 교류 등이 감지됐다.

연구진은 "감염병의 치료와 백신 개발의 신속성, 이를 전 세계에 확산하는 효율적 국제 공조, 대응 정책의 면밀한 효과 분석과 지속적 미세조정, 시민들의 협조를 끌어낼 수 있는 정부 신뢰와 미래지향적 규제 정책 등으로 코로나19 시대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급변하는 상황에 취약한 글로벌 경제 시스템과 위기 대응 거버넌스, 정부에 대한 불신, 개인의 권리와 자유의 침해, 극도의 심리적 불안, 취약한 국제사회 공조, 환경파괴와 지지부진한 기후변화 대응 등에 대해 혁신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