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파괴로 야생동물 접촉이 늘어 전염병 위험이 증가

[스트레이트뉴스=이제항 기자] 인간이 동굴 속 박쥐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은 인간의 무분별한환경파괴의 결과로 볼 수 있다. 야생동물의 불법 밀수 관리의 미비, 공장식 축산정책의 문제점, 기후변화 정책의 미비 등의 환경정책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한 사태이기 때문이다.

코로나-19사태는 매우 유사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에도 큰 시사점을 주고 있다. 우리나라도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환경정책을 점검하여, 야생동물 밀수 규제 및 체험시설 관리강화, 친환경 축사의 확대, 기후정책과 보건정책의 연계 강화를 해야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입법조사처(처장 김하중)는 7일‘환경파괴로 늘어나는 전염병 현황 및 대응 방안’을 다룬 ‘이슈와 논점’보고서를 발간했다.

기후변화로 산불·가뭄·홍수 등이 많이 발생하고, 경제개발로 생태계를 파괴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서식지를 잃은 야생동물과 인간의 접촉이 늘어나면, 인간이 인수공통전염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코로나 계열의 바이러스는 박쥐(bat)의 코로나 바이러스가 야생동물을 중간 숙주로 하여 인간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2003년 발생한 사스(SARS)는‘박쥐→사향고양이→인간’, 2015년 발생한 메르스 (MERS)는‘박쥐→낙타→인간’경로의 전파 가능성이 있다.

2019년 코로나19의 인간 전파 경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다른 중간 숙주 가능성도 있지만‘천산갑’이 가장 유력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환경정책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사태는 멸종위기 야생 동물의 불법 밀수·공장식 축산정책·기후변화 및 생태계 파괴 등 환경정책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

국회입법조사처는 “불법 밀수·공장식 축산정책·기후변화 및 생태계 파괴 등 환경정책의 사각지대에서 발생했다고 볼 수 있다”며 “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야생동물 관리 강화·친환경 축산정책의 확대·기후변화정책에대한 유관부처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