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코트라 "중국 경기부양책, 기회 요인…활용해야"
미국·중국 경기부양에도 코로나 재확산 우려 여지남아
한은 "주요국 실물지표 개선, 일시회복에 그칠지도"

중국이 강력한 내수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1100조원을 시중에 풀기로 했다. 연합뉴스
중국이 강력한 내수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1100조원을 시중에 풀기로 했다.

중국이 강력한 내수 확대 전략의 일환으로 1100조원을 시중에 풀기로 한 가운데, 이번 경기부양책이 우리 기업에도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2일 '2020년 중국의 6대 정책 방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강력한 내수 확대 전략이 우리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1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은 –6.8%로 지난해 4분기보다 12.8%포인트 급락했다. 국제통화기금(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도 올해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지난달 열린 전국 양회에서 ▲중소기업 지원 ▲시장 및 정부 혁신 ▲내수 확대 ▲대외 개방 및 협력 ▲고용·민생 안정 ▲환경·에너지 관리 등을 하반기 6대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재정적자 확대, 특별 국채 및 지방채권 발행 등 6조3500억 위안(약 1100조원)의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내놨다.

보고서는 "중국 경제는 고속 성장에서 고품질 성장 단계로 변모해왔다"면서 "앞으로도 속도보다는 혁신과 효율을 위한 정책과 안정적인 경제·사회 발전을 뜻하는 '온중구진'(穩中求進·안정 속 진전)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경기 부양책 가운데 소비와 유효투자 진작을 통한 내수 확대 전략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자동차·가전제품 등 내구재 교체 수요와 데이터 경제 기반 혁신 제품 및 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이커머스와 온·오프라인 결합(O2O) 서비스 등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내수 경기가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소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의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연구·개발 강화는 우리 기업과의 경쟁을 심화시킬 수는 있지만, 협력을 통해 신시장 진출 기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도 무역협회의 의견과 유사한 주장을 내놨다. 지난 16일 펴낸 '코로나19 주요국의 경제·통상 정책 동향' 보고서를 통해 주요 국가별 경기부양책이 나오면서 기회 요인도 생긴 만큼 우리 기업과 정부도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봤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경기 부양과 고용안정에 방점을 둔 8조2500억위안(약 1400조원) 규모 슈퍼부양책을 도입했다. 특히 5G(5세대 이동통신), 미래차, 인프라 사업에 중·장기적으로 50조위안(약 8000조원)에 달하는 초대형 뉴딜을 계획 중이다.

미국도 2조달러(약 2500조원) 규모 코로나19 경기 부양법을 발효해 개인소득 보전, 기업 대출 확대, 공공의료 서비스 개선에 나섰다.

일본은 긴급경제 대책 발표 후 사상 최대 추경예산 234조엔(약 2600조원)을 편성했다. 인도, 베트남, 태국 등 신흥국가도 현금 지급, 기업 대출을 포함한 역대급 경기부양책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다만 코로나19에도 반덤핑 등 수입규제·비관세장벽 조치는 증가하고 있다. 코트라는 의료용품을 중심으로 수출규제까지 도입돼 보호 무역주의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우려는 한국은행도 제기한 바 있다. 한은은 지난 21일 발표한 ‘최근 해외경제 동향 및 주요 이슈’를 통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시장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고 봤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의 실물지표 개선이 경기 부양책에 따른 일시적인 회복세에 그칠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경제 재개 속도가 지연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다.

미국의 실업수당 신규청구건수는 지난 3월 넷째주(22~28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경제활동 재개, 정부의 급여보호 프로그램(PPP·Paycheck Protection Program) 실시 등의 영향으로 10주 연속 감소했다. 5월 중 실업률은 전달(14.7%)보다 하락한 13.3%를 기록하기도 했다.

미국 내 일부 주에서 코로나19 확진자수가 늘어나면서 소비심리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됐다. 더불어 노동시장 회복도 지연될 우려가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