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묘지 찾아 “이승만 대통령은 나라 세운 국부”
더불어민주당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저지 특별위원장인 도종환 의원이 15일 국민의당 한상진 창당준비위원장의 이른바 '국부발언'을 날선 어조로 질타했다.
‘국민의당’ 한상진 공동창당준비위원장(71)이 14일 “어느 나라든 나라를 세운 분을 국부라고 한다”며 이승만 전 대통령을 ‘국부’로 규정한 것에 대한 비판인 것이다. 한상진위원장의 발언은 대한민국 건국일은 상해임시정부 수립일인 1919년 4월13일이 아니라 정부 수립일인 1948년 8월15일이라는 뉴라이트 진영 주장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이날 안철수 의원 등 창준위 인사들과 서울 강북구 국립4·19민주묘지 내 민주열사 묘역을 참배한 뒤 기자들과 만나 “이승만 대통령의 과만 이야기할 게 아니라 공도 봐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한 위원장은 “이 대통령은 자유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와 제도를 도입하신 분”이라며 “(이 대통령에 의해) 만들어진 뿌리가 성장해 4·19혁명에 의해 민주주의의 보편적 가치로 확립됐다”고도 했다.
한 위원장은 ‘이승만 국부론’이 당 공식 입장이냐는 질문에 “개인적인 생각”이라며 “당 공식 입장이라고는 말할 수 없고,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대한민국이 1948년 건국됐다는 일부 주장에 동의하느냐’는 물음에는 “말씀드릴 기회가 올 것”이라고 답했다. 이는 안철수의원의 언행과 배치되는 대목으로 안의원의 머리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당장 한 위원장이 ‘이승만 국부론’을 내놓은 자리에서 안 의원은 “4·19혁명은 불의와 무능한 정부에 항거한 국민들에 의한 혁명”이라고 했다. 이승만 정부를 ‘불의하고 무능한 정부’로 규정한 것이다.
이에 도종환 의원은 15일 개인성명을 내고 "얄팍한 역사인식의 수준을 드러낸 망발이자, 새로운 정치를 표방한 국민의당에 혹시나 하는 일말의 희망을 걸었던 지지층과 국민들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사태"라고 지적했다. 또 도 의원은 "합리적 보수를 끌어안기 위한 행보가 역사적 평가를 제멋대로 하는 것이라면 이는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죄를 짓는 일"이라고도 밝혔다.
한편 한상진 위원장은 11일에도 국립서울현충원 내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역을 참배한 뒤 “이승만 대통령께서는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이 땅에 도입하고 굳게 세우신 분” “박정희 대통령은 굉장한 헌신을 가지고 우리나라 근대화 또는 산업화를 몸소 이끄신 분”이라고 말했다.
한 위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보수·진보의 대립을 극복하겠다며 국민의당이 내건 ‘중도노선’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때와 장소에 따라 발언이 널뛰기하고 당내 주요 인사들의 발언·정책과 상충되는 경우도 많아 당의 정체성과 노선이 무엇인지 혼란스럽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국 정체성 논란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도종환 의원은 성명서 마무리에 "지금이 어느 때인가"라며 "박근혜 정부와 수구세력들이 우리 아이들에게 '긍정적인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며 역사에서 '친일'과 '독재'를 지우기 위해 '역사전쟁'을 일으키고 국정화를 시도하고 있지 않은가"라고 되물었다.
그는 "한 위원장의 이번 발언은 '개인적 견해'로 변명하고 넘어갈 성질이 아니다"라며 "국민의당은 한 위원장의 발언에 대한 당 차원의 공식적인 입장과 함께 건국시점 등 역사적 사실들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