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전기차 배터리 폴란드 공장. LG화학 제공
LG화학 전기차 배터리 폴란드 공장. LG화학 제공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LG화학이 다음해에 중대 환경안전사고 제로(0)화를 목표로 전세계 사업장에 엄격한 환경안전 기준을 적용한다.

LG화학은 전세계 37개 사업장(국내 15개·해외 22개)을 대상으로 환경안전 기준을 재정립하고 관리 체계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지난 5월 발표한 '환경안전 강화대책’의 후속 조치로, 현재 LG화학은 사내 환경안전 및 공정기술 전문가·외부 전문기관으로 구성된 '엠-프로젝트(M-Project)'를 가동 중이다.

앞서 LG화학은 전체 사업장을 대상으로 고위험 공정 및 설비에 대한 긴급 진단을 우선 완료하고 총 590개 항목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항목에 대한 즉각 조치를 위해 올해 총 810억원 규모의 환경안전 투자를 추가로 집행 중이다. 또 외부 전문기관과 함께 올해 안 마무리를 목표로 정밀 진단도 진행하고 있다.

LG화학은 엠프로젝트를 통해 ▲환경안전 규정 체계 재정립 ▲마더팩토리(Mother Factory) 운영 ▲사고감지/예방 체계 구축 등 주요 실행 과제를 2021년까지 모두 완료할 계획이다.

또 제품 및 공정상 최고 기술 수준의 사업장을 '마더 팩토리(Mother Factory)'로 선정해 분야별 BP(Best Practice) 사례를 전사업장으로 전파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대상 선정 및 운영 규정을 수립 중인 가운데 다음해 상반기부터 이 제도를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빅데이터를 활용해 사고 징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주력한다. 현재 여수 및 대산 석유화학 공장에 파일럿 설비를 구축해 디지털 전환 기술을 테스트하고 있다. 내년에는 기술 적용이 가능한 사업장 및 단위 공장을 중심으로 확대 적용할 방침이다.

LG화학은 올해 하반기 환경안전 예산 및 투자 관리의 주체를 각 사업본부에서 법인 환경안전 조직으로 변경한다. 전사 차원에서 환경안전분야의 조직 체계를 개선해 사고예방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올해 환경안전 분야에 총 2350억원의 투자를 집행 중인 가운데 전문 인력 확보 및 국내외 환경안전 조직 재정비에 집중해 환경안전이 최우선이라는 경영 방침을 전체 조직에서 확실하게 실천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최근 사고에 대한 무거운 책임을 통감하며 환경 안전을 바로잡지 못하면 미래는 없다는 각오로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했다"며 "안전하지 않으면 가동하지 않는다는 정신을 바탕으로 준비한 고강도 환경안전 정책을 전세계 사업장에 체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