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 없는 대구, 1인당 지역내 총생산 전국 꼴찌

ⓒ뉴시스

지난해 12월 통계청이 발표한 시·도별 지역소득 자료에 따르면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 시·도 단위별 생산액, 물가 등 기초통계를 바탕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해당지역의 총생산액을 추계하는 시·도 단위의 종합경제지표) 최하위는 대구시로 1894만원이었다. 1위 도시 울산(6110만원)의 31%에 불과하며 전국 평균(2944만원)의 64.3% 수준에 그쳤다. 특히 통계청이 집계를 시작한 이래 22년째 꼴찌이자 이제 유일한 1천만원대로 남아 있다.

 

경쟁없는 대구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22년째 전국 꼴찌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이명박, 박근혜 등 5명의 지역출신 대통령과 40년 가깝게 누린 권력 치고는 너무나 초라한 경제 성적표다. 대구경북은 13대 총선 이후 특정정당 공천이면 무려 78.1%가 당선되는, 선거 때만 얼굴을 내미는 서울 사람들의 독점체제였다. 19대의 경우에도 초선 11명 중 김상훈·박종진 의원만이 지역 안에서 활동해온 인물이었다.

간신히 꼴찌는 면했지만 2049만원으로 항상 대구에 못지않은 광주도 경쟁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13대 총선 이후 광주전남북의 경우 특정 정당 공천장만 확보하면 당선 비율이 89.3%였다. 그러나 최근 이 현상은 역전되고 있다. 18대는 31석 중 6석을 무소속에게 허용해 통합민주당이 80.6%였고, 19대도 30석 중 통합진보당과 무소속에 각각 3석과 2석을 허용해 민주통합당은 83.3%였다. 이와 반면에 대구경북은 19대 새누리당이 27석 전석을 석권했고, 18대의 경우 한나라당·친박연대·친박 무소속 등이 26석, 그리고 순수 무소속은 단 1석에 그쳤다.

2004년 17대 총선 때까지만 해도 광주전남북은 현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이었다. 정당 비례대표(열린우리당 + 새천년민주당) 득표율의 81.2%를 얻었으니 대선에서의 표 쏠림에 버금갔다. 그렇지만 정권재창출에 실패한 직후인 18대 총선부터는 호남인의 선택도 달라지기 시작한다. 18대는 66.8%, 19대는 68.0%였다. 지역구의 경우는 16대 총선에서 당선된 새천년민주당 의원들의 득표율 평균은 71.3%였다. 열린우리당과 분당이 된 17대는 제외하더라도 18대 통합민주당은 67.5%, 19대 57.8%로 갈수록 하락하고 있다.

이 사이 호남 2당으로 부상한 진보정당계열은 득표율 약진을 보이고 있으니 18대 민주노동당 지역구 후보자들의 평균은 10.5%, 19대 통합진보당은 이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24.8%의 득표율과 3명의 당선자를 배출했다. 한편 5명의 비 민주통합당 당선자와 30% 이상 득표율을 기록한 낙선자를 포함하면 새누리당 2명, 통합진보당 4명, 무소속 7명 등 총 13명이다.

19대 통합진보당은 호남에서 356,317표로 3석을 차지했으나 민주통합당은 대구경북에서 273,625표를 득표하고도 단 1석조차 얻지 못했다. 1등만 당선되는 소선거구제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 대구경북만이 거의 유일하게 경쟁이 없는 지역으로 남아있다. 민주통합당이 내보낸 21명의 지역구 후보들의 평균 득표율은 17.7%이며 40%가 넘는 김부겸 전 의원을 제외하면 30%를 넘긴 경우는 단 한 명도 없는 실정이다. 이제 부끄럽기 짝이 없는 전국 최고 득표율도 경북 김천(이철우 의원, 83.45%)으로 넘겨주었다.

 

김부겸의원을 제외하면 30% 넘긴 경우 없어

2월 11일 현재 중앙선관위가 공개하고 있는 예비후보 숫자는 총 1402명이다. 여야가 잠정 합의한 선거구가 253개이므로 경쟁률은 5.54 대 1이다. 이 중 호남지역은 160명으로 28석으로 계산하면 5.71 대 1이다. 정당별로 보면 새누리당 18명, 더불어민주당 46명, 국민의당 64명(무소속 등록자 중 국민의당 및 국민회의 창당발기인 참여자를 카운트함), 정의당 5명, 무소속·기타 27명 등이다.

먼저 직업별로 살펴보면 더민주는 현직 국회의원 9명(비례 1명 포함), 전직 국회의원 4명, 전직 기초단체장 1명, 전직 지방의원 4명, 시민사회활동가 4명, 당료 8명, 법조인 3명, 자영업자 4명, 기업인 2명, 전직 금융인 1명, 만화가·전직 군 장성·전직 기자, 전직 관료 각 1명, 기타 2명이다.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 8명이 미등록 상태이지만 절반 이상이 전·현직 국회의원 또는 당료라는 점이 특징이다.

국민의당은 전직 국회의원 5명, 전직 기초자치단체장 3명, 전직 지방의원 12명, 법조인 12명, 당료 7명, 대학교수 6명, 전직 관료 5명, 기업인 4명, 전직 기자 4명, 시민사회활동가 2명, 전직 군 장성·의사 1명, 기타 1명 등이다. 국민의당 지역구 현역 국회의원 11명은 전원이 예비후보 등록을 하지 않았다. 따라서 직업군에 있어서는 국민의당이 훨씬 다양하다. 국민의당은 풀뿌리정치인(15명, 23.4%)들과 법조인들(12명, 18.7%)이 주축이다. 대학교수, 관료, 기자, 군 장성, 의사 등 전문가들(17명, 26.6%)도 적지 않게 보인다.

학력의 경우 더민주는 박사 학위 소지자가 9명(19.6%), 석사는 19명(41.3%), 대졸이 17명, 대학 중퇴가 1명이었다. 국민의당은 박사가 15명(23.4%), 석사는 16명(25%), 대졸은 30명, 대학 중퇴가 2명이었다. 학부를 기준으로 더민주는 SKY(서울대·연세대·고려대) 출신이 9명, 지방대 출신은 20명이었다. 국민의당은 23명이 SKY 출신, 지방대는 20명이었다.

평균 연령의 경우, 더민주는 52.72세 국민의당 54.5세였다. 국민의당은 70대 예비후보가 3명이나 등록했기 때문이다. 더민주는 40대 이하가 11명으로 28.3%를 차지했고, 국민의당은 같은 11명이었지만 비율은 18.8%였다.

새누리당은 19대 총선 당시 35.8% 득표율로 선전한 정운천 전 농림부장관(전주 완산을)과 박종길 전 문화체육부차관(익산을), 그리고 주영순 현 비례대표 의원(전남 무안신안)이 눈에 띤다. 정의당은 2015년 4월 보궐선거에도 출전한 바 있는 강은미 전 광주시의원(광주 서구을), 조준호 전 민주노총위원장(군산), 서기호 현 비례대표의원(목포)의 득표력을 기대해볼 만하다.

 

호남 2번 독점 무대 깨져

그동안 호남은 ‘기호2번 정당’의 독점 무대였다. 2번 정당이 후보를 내세우면 찍기 싫어도 선택의 여지없이 찍을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다양한 정당과 후보자를 선택하고 싶다는 욕망이 극에 달해 그것이 2번 정당 후보자에 대한 지지율이 점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2014년 지방선거에서 그대로 드러났고 전남북 시장군수 36석 중 15석을 무소속이 가져갔다. 2014년 지방선거 당시 전남북 무소속 당선자 및 득표율이 3분의 1이 넘은 낙선자는 모두 32명이었다. 이들은 전·현직 단체장 13명, 전직 관료 12명, 전직 지방의원 4명, 교수 3명이었다. 학력으로는 박사 6명, 석사 14명, 대졸 9명, 대퇴이하 3명이었다. 석박사가 62.5%였다. 이어진 재·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정현·무소속 천정배 후보가 연속 당선된 또한 호남이 본격적으로 다당 체제에 들어간 것임을 증명한다.

설 연휴를 강타한 북한의 로켓 발사는 야권의 지형에도 새로운 변화를 주고 있다. 경제는 진보, 안보는 보수를 표방해온 국민의당이 9일 신속하게 의원총회를 열고 한국과 미국이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문제를 공식 협의하기로 한 데 대해 반대당론을 정했다. 지지기반인 호남을 의식하여 이전과는 달리 분명 좌클릭 한 느낌이다. 이와 반면에 김대중·노무현 정부의 햇볕정책을 승계해온 더불어민주당은 김성수 대변인의 ‘유감’ 표명 및 중국의 설득과 사드 배치로 인한 방위비 분담 문제를 선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4성 장군 출신인 백군기 의원은 사드 배치 자체는 반대하지 않는다고도 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한 발 더 나아가 북한 궤멸론 발언 등으로 중도층을 겨냥한 우클릭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어진 개성공단 폐쇄조치에 대해서는 더민주와 국민의당 모두 한 목소리로 정부를 향해 규탄한다며 공세를 퍼붓고 있다. 두 야당의 경쟁이 가져다준 선물이다. 한 편으론 경쟁하며 다른 한 편으론 협력이라는 새로운 구도는 총선에서는 경쟁하고 대선에서는 연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야권분열 우려보다 정권 교체 더 유리할 수 있어

호남에서 제3정당을 얘기하면 야권분열에 대해 우려하는 시각도 없지 않다. 그러나 제3정당이 존재해야 지역의 경쟁체제를 확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대통령 선거에서는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정책연합 등 제대로 된 선거연합으로 발전시키면 된다. 그렇게 하는 것이 정권 교체에도 더 유리할 수 있다. DJP연합이나 노-정단일화가 좋은 예이다.

2014년 충남의 1인당 GRDP는 4702만원으로 전국 2위였다. 꼴찌 대구의 2.5배, 15위 광주의 2.3배였다. 공업도시 울산을 제외하면 사실상 1위나 다름없다. 충남은 15대를 제외하면 13대부터 19대 총선까지 제3정당이 꾸준하게 당선자를 배출한 유일한 지역이다. 경쟁이 곧 발전을 담보한다.

 

최 광 웅

참여정부 인사제도비서관
현 데이터정치연구소 소장

<돌직구뉴스>후원회원으로 동참해 주십시오. 눈치보지 않고 할 말 하는 대안언론!  시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당당한 언론! 바른 말이 대접받는 세상을 만드는데 앞장 서겠습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