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GDP 대비 100.1%(세계 1위)... 빠르게 하락 중
기업부채는 역주행…비율 4위·증가속도 5위

5대은행 가계대출 추이. 연합뉴스 제공.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빠르게 내려오면서 세계 유일 GDP(국내총생산)보다 가계부채가 많은 나라라는 오명에서 올해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업부채는 빠르게 늘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3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4분기 기준 세계 33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100.1)이 가장 높았다. 이어 홍콩(93.3%)·태국(91.6%)·영국(78.5%)·미국(72.8%)이 2∼5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2020년 3분기부터 가계부채가 GDP보다 높은 유일한 나라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해 한국 가계부채 비율의 하락 폭(-4.4%p·104.5→100.1%)이 영국(-4.6%p·83.1→78.5%)에 이어 두 번째로 커 이와 같은 기조가 유지되면 올해는 100% 이하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DP대비 가계부채가 최고를 기록한 건 2022년 1분기(105.5%) 였다.

만약 올해 GDP 성장률이 한국은행의 전망(2.1%)대로 2%를 웃돌고,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이 목표(1.5∼2.0%) 안에서 머문다면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중 100% 아래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8월 이창용 한은 총재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

연초 은행권의 가계대출 증가세도 다소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달 28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696조371억원으로 1월 말(695조3143억원)보다 7228억원 늘었다.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연속 불었지만, 월간 증가 폭이 1월(+2조949억원)보다 크게 줄어 지난해 6월(+6332억원) 이후 8개월 만에 최소 수준이다.

금융 당국의 가계대출 창구지도에 따라 KB·신한·우리 등 시중은행들이 최근 대출 금리를 올린 데다, 지난달 26일부터 은행들이 일제히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정을 적용하면서 대출 한도까지 줄어 당분간 가계대출이 급증하기는 어려운 환경이다.

하지만 기업 부채는 계속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작년 4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125.2%)은 홍콩(258.0%), 중국(166.5%), 싱가포르(130.6%)에 이어 네 번째로 높았다. 이는 2022년 4분기(121.0%) 대비 1년 새 4.2%p 오른 수치다.

상승 폭으로 보면 러시아(8.4%p·72.9→81.3%), 사우디아라비아(8.2%p·55.6→63.8%), 중국(7.7%p·155.8→166.5%), 인도(7.0%p·53.7→60.7%)에 이어 5위 수준이다.

한은도 지난해 12월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민간 신용 레버리지(차입)가 높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며 "GDP 대비 기업신용 비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한 바 있다.

한은이 집계한 작년 3분기 말 GDP 대비 민간 신용(자금순환통계상 가계·기업 부채 합) 비율(227.0%)은 역대 최고였다. 하지만 가계신용과 기업신용을 따로 보면, 가계(101.4%)는 직전분기(101.7%)보다 0.3%p 낮아졌지만 기업(125.6%)이 운전자금 수요와 은행 대출태도 완화 등의 영향으로 1.6%p 높아졌다.

한편 한국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45.1%)은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29.9%), 싱가포르(173.1%), 미국(119.9%), 아르헨티나(91.1%) 등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