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협약 재가입·탄소국경세 신설 유력
국내 자동차·건설·화학 기업에 신규제될 듯
현 정부 그린뉴딜과도 맞닿아…'적극 공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기후변화, 친환경 등 녹색규제의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기후변화, 친환경 등 녹색규제의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기후변화, 친환경 등 녹색규제의 강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 9위 탄소배출국에 해당돼 미국서 사업을 영위 중인 자동차, 건설, 화학, 철강 등 기업 등에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 관계부처가 공동 작성한 '미국 대선에 따른 경제 파급영향 및 대응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의 가장 큰 정책 차별 분야로 친환경을 꼽고 있다.

여기서 친환경이란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으로 전환하기 위한 각종 규제를 뜻한다.

바이든 당선인은 지난 4일 대선 승리가 명확해지자 자신의 트위터에 "정확히 77일 안에 바이든 행정부는 파리기후협약에 다시 가입하겠다"라는 글을 올렸다. 그가 시한으로 스스로 정한 77일은 대통령 취임식이 열리는 1월 20일까지 기간이다.

과거 트럼프 정부 정책에서 바로 바꿔 바이든 본인의 색채를 넣을 첫 번째 정책으로 기후변화 협약 문제를 든 것이다.

바이든 당선인은 후보 시절 미국이 모든 외교 수단을 동원해 2050년 경제 전체의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토대로 국제사회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으로 4년간 2조 달러를 투자하는 청정에너지·인프라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계획은 전기차에 대한 각종 지원, 건물·주택·대중교통시설 에너지 효율화, 태양광 패널·풍력터빈 등 재생에너지에 대한 지원 방안을 담고 있다.

정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녹색 정책에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녹색 정책이 미국은 물론이고 국제기준으로 정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미국이 국제사회에 다시 합류해 기후변화나 환경 관련 논의를 활성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첫 번째 포인트는 탄소국경세다. 탄소국경세는 탄소 배출이 많은 국가 또는 기업 제품에 추가로 부과하는 관세다. 자국 내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발생한 비용을 자국 수출 기업에는 지원금으로 주고 다른 나라 수출기업에는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개념이다.

세계 9위 탄소배출국인 우리나라는 이런 세제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특히 탄소배출이 많을 수밖에 없는 석유화학이나 철강 등 분야에서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바이든 행정부는 미국과 교역하는 당사국을 대상으로 2025년까지 탄소국경세를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둘째로 바이든 행정부는 자국 내 차량과 건축물, 인프라 등 분야에 대한 환경 기준도 강화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는 대기오염방지법이나 건축물 에너지 효율성 기준을 강화하거나 인프라 투자 때 환경 적정성 평가를 의무화하거나, 기업의 기후 리스크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공개하는 제도를 도입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에서 영업하는 국내 자동차·건설·화학 기업 입장에서는 새로운 규제를 의미한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 있다.

바이든 당선인의 예상되는 정책 변화. 연합뉴스
바이든 당선인의 예상되는 정책 변화. 연합뉴스

정부는 바이든 행정부의 이러한 녹색 전략이 우리의 그린 뉴딜과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고 보고 있다. 우리가 친환경차나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인프라 등 분야에서 앞서나간다면 새로운 국제사회의 질서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실제로 바이든의 공식 선거 홈페이지에서도 그린 뉴딜이라는 단어가 수차례 등장했다. 바이든은 친환경 인프라 건설에 앞으로 4년간 220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부는 국내 고탄소기업의 친환경 전환을 지원할 예정이다. 석탄발전 비중을 낮추고 전통 에너지산업에 대해선 추가 규제를 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태양광(패널)·풍력(터빈)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해선 투자를 확대한다.

미국의 환경기준 강화에 대비해 자동차·건설·화학 등 분야에서 정보 공유를 강화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 12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대외경제장관회의에서 트럼프 행정부와 바이든 정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환경분야에 대해서 총력 대응 방침을 결정했다.

태양광·연료전지·친환경차 등의 녹색산업 핵심분야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과 시범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국내 기업들의 미국 청정에너지 실증사업 참여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우리 기업들의 친환경 기술·제품의 수출 확대도 총력 지원한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