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 사퇴로 8번째 부실 검증 논란
청와대 "언급할 게 아니다" 선 그어
김기식 금융감독원장 사의를 둘러싸고 청와대 인사 실패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되면서, 야당은 인사 검증을 담당하는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의 경질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지난 16일 김기식 원장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일부 위법 판단을 내리면서 김 원장이 자진 사의를 표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즉각 사표 수리 의사를 밝혔지만 청와대의 인사 검증시스템에 대한 비난의 화살은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김 원장은 자신을 둘러싼 외유성 출장 논란이 불거진 지 11일 만에 자진 사퇴하며 물러났다. 앞서 문 대통령이 '선관위 적법성 판단'이라는 카드를 던져봤지만 일부 위법성 결론이 내려지면서 사표를 수리해야 했다.
조국 수석은 김 원장의 임명과정에서 1차적으로 인사검증 책임이 있는 데다, 최근 제기된 외유성 출장과 관련해 조사결과 모두 문제될 것이 없는 적법한 출장이었다며 김 원장에게 '면죄부'를 준 바 있다.
아울러 조 수석은 이날 선관위가 위법하다고 판단을 내린 김 원장이 소장으로 있는 '더미래연구소'와 특수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야당은 조 수석이 2015~2016년 2년 간 초대이사장으로 활동했고 2016년 11월 연구소 강사로 직접 강연에도 나서는 등 김 원장과의 특수관계 때문에 재조사에서도 면죄부를 줬다고 공격하고 있다.
당장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 등 야권은 이날 논평을 내고 조 수석의 경질을 촉구했다. 전희경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조 수석은 김 원장 사태는 물론 1년 간 벌어진 인사 참사의 책임을 져야 한다"며 "(문 대통령은) 조국 민정수석 역시 당장 경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성주 바른미래당 대변인 역시 "잘못된 인사를 강행하기 위해 국민을 '패싱'하고 엉뚱한 기관까지 동원하며 국정혼란을 야기한 청와대의 총체적 책임을 철저히 물어야 한다"며 "인사를 망사(亡事)로 일관한 조 수석의 즉각 사퇴는 말할 것도 없다"고 조 수석을 향해 책임공세를 폈다.
최경환 민주평화당 대변인도 "김 원장 임명에 대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던 조 수석과 청와대 민정 라인은 책임져야 한다"며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직접 결정하지 못하게 하고 선관위 결정으로 금감원장을 사퇴하게 만드는 상황까지 몰고 온 것에 대해 청와대 인사 라인과 민정 라인의 총사퇴를 촉구한다"고 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야권의 민정라인 총사퇴 주장에 "그 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언급할 그런 게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김 원장은 문재인 정부 들어서 자진사퇴한 8번째 인사의 멍에를 쓰게 됐다. 지난해 6월5일 교수 시절 품행 논란으로 물러난 김기정 전 국가안보실 제2차장을 시작으로 조대엽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 박성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최흥식 금융감독원장 등이 자진사퇴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