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사랑채 앞에 설치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담긴 그림 작품. 
청와대 사랑채 앞에 설치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담긴 그림 작품. 

[스트레이트뉴스 고우현기자]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 준비에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아직 북한으로부터 공식 답변이 온 것은 아니지만, 만일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이에 대한 준비에 집중하고 있는 분위기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김 위원장의 답방 여부에 대해 "지금까지는 진척된 상황이 없고 발표할 것도 없다"며 "별다른 징후는 없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답방을 공론화 한 해외순방 직후 김 위원장을 공식 초청한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답방 준비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등 물리적인 여건 등을 감안할 때 늦어도 다음 주 중에는 가부가 결정돼야 본격적인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김 위원장의 철저한 경호·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선 경찰 등 관계부처에 답방 시기와 예상 동선 등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최소한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해외순방 중이던 지난 1일 기내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북한에서 가장 신경 쓸 부분이 경호라든지 안전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그 부분들은 철저하게 보장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북한 내부적으로 김 위원장이 평양을 비울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이다.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17일), 한 해 정책추진을 결산하고 내년 신년사 등을 준비하는 총화 기간(21~31일) 등 일정이 가득하다.

이러한 상황적 여건을 토대로 여려 관측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김정일 추모 7주기인 17일을 넘긴 18~20일이 유력하다는 전망과 12~14일, 크리스마스 전후 등 여러 추측이 동시에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선 물밑 접촉을 통해 모든 준비를 끝내 놓고 북한과 발표 시점만 저울질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김 위원장의 평양 출발과 동시에 발표하는 '깜짝 발표'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러한 관측에 기반한다. 

청와대는 경우에 따라 연내 답방이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고 있지는 않다.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에 의미를 두며 추진하면서도, 북측의 답변이 없는 상황에서 시점에 연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특히 의전·경호 등 김 위원장의 답방에 필요한 최소한의 절차마저 생략한 채 무리하게 추진할 수만은 없다는 게 청와대의 인식이다. 다만 주어진 상황에 맞게 몇 가지 프로세스를 압축·진행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과 관련해 "현재로서는 확정된 사실이 없다"면서 김 위원장의 답방을 서둘러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9일 "김 위원장의 서울 방문은 여러가지 상황이 고려돼야 하는 만큼 우리로서는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며 "평양공동선언에 대한 두 정상의 이행 의지는 분명하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는 계속 논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가 김 위원장의 답방 추진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내용의 공식 입장을 낸 것은 문재인 대통령이 순방기간 김 위원장의 답방을 공론화 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대해선 물리적인 여건을 고려했을 때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이 어렵다고 보고, 여유롭게 내년 초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아울러 김 위원장의 답방 시점에 대한 여러 추측들이 제기되며 청와대로 모든 이목이 쏠리는 상황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