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척이 있어 나가봤더니
감나무에서 감 떨어지는 소리였다.

감나무는 가을이 깊어질 때까지 이 아이와 함께하고 싶었을 것이다.
버티고 또 버티다가 결국 손을 놓아 버렸다.
가뭄 때문이다.

버려진 감의 항변이 들리는 것 같다.
"내가 뭘 잘못했지? 썩지도 않고, 벌레 먹지도 않았어."

나쁜 사회는 이렇게 대답한다.
"알아서 잘했어야지. 다들 형편이 안 좋잖아? 각자 제 살길을 찾는 것이 자유민주주의야.
너는 더 좋은 가지를 타고났어야 돼. 아니면 몸집을 줄이든가."

더불어 사는 사회라면 벼랑끝에 내몰린 약자를 끝까지 붙들고 가야 한다.
우리가 세금을 내는 이유다.

학교는 주저앉으려는 마지막 아이까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가 학교를 만들어 아이들을 보내는 까닭이다.

알아서 견뎌 봐, 그럴 거면 세금 낼 필요도 없고, 군대 갈 필요도 없고, 투표할 필요도 없다.
국가와 정부 따위는 알아서 엎어 버렸을 것이다.

함께 가야 한다.
가다가 못 미치면, 그것이 우리의 최선이었다고 목표를 수정하면 된다.
목표는 목표일 뿐이다.

지금 여기, 각자가 처한 동시대의 다양한 조건 속에서 우리가 서로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으며
어떤 태도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
결과 따위는 아주아주 사소하다.

보릿고개, 산업화 과정, 민주화 운동, 외환위기, 글로벌 금융위기, 세월호 참사, 촛불혁명을 다 겪고 
육십을 바라보는 나이가 되어서야 겨우 깨달은 진리다.

결과는 아무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 최종적으로는 죽음에 도달하기 때문이다.
케인스도 비숫한 말을 했다.

"In the long run, we are all dead."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