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프로세스 연계 '소득 선정산 서비스' 오픈

ESG 경영 행보, 플랫폼 노동자 경제 안정 기여...금융약자 지원, 사내벤처 활성화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신한카드가 카드 결제 기반의 창의적 혁신모델로 플랫폼 노동자들의 경제적 안정과 경제 활성화에 일조,ESG 경영을 실천한다.

신한카드는 음식배달 라이더, 청소 일용직 등 ‘플랫폼 노동자’의 소득 정산주기를 앞당겨주는 ‘카드기반 소득 선정산 서비스’(이하 소득 선정산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플랫폼 노동자(긱 워커, Gig Worker)는 음식 배달 중계 등의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배달ㆍ운전, 청소 등 일감을 받아 노동력을 제공하고 소득을 얻는 특수형태 근로종사자들을 칭한다.

외부 금융회사 주도로 다수의 플랫폼사에 소득 선 정산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 비즈니스 모델은 종례에 없던 혁신 모델로 신한카드는 동 비즈니스 모델을 특허 출원 신청 중에 있다.

동 서비스의 핵심은 기존의 신용카드 가맹점 대금 정산 프로세스를 응용해 플랫폼 노동자의 소득 정산주기를 주 단위 또는 일 단위까지로 조정할 수 있어 기존 대비 14 ~ 55일까지 최대 80% 정도 소득 정산주기를 앞당기는 데 있다. 지금은 일한 뒤 늦게는 56일 후에야 임금을 정산받고 있는데 이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르면 다음날에도 정산 가능하다.

플랫폼 노동자가 플랫폼 홈페이지에 들어가 ‘소득 선정산 서비스’를 신청하면, 매주 또는 매일 주기로 소득을 빨리 정산받을 수 있으며, 정산받은 소득은 신한카드 홈페이지나 페이데이즈 홈페이지에 접속해 은행 계좌로 인출이 가능하다. 신한카드는 오는 5월 내로 정산받은 소득을 국가재난지원금처럼 즉시 카드를 통해 전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업그레이드 할 예정이다.

나아가 플랫폼 노동자들은 여기저기 흩어진 플랫폼 소득들을 한 화면에 정리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한카드는 소득 증빙이 어려워 금융기관들로부터 추가 소득만큼 혜택을 받지 못했던 플랫폼 노동자들을 대상으로 자신의 축적된 소득 정보를 금융기관 등에 간편하게 제공하여 신용카드 발급, 대출 한도나 금리에서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적극 추진할 예정이며, 개인사업자 CB사업인 마이크레딧과 연계 사업으로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문동권 신한카드 경영기획그룹장은 “신한카드가 급성장하는 긱 이코노미 트렌드에 발맞춰 결제라는 고유 기능을 통해 사회 발전에 일조할 수 있게 돼 매우 유의미한 일로 생각한다”며, “신한금융그룹의 ESG전략 연계, 금융 약자 지원 등 기업의 사회적 상생 책임을 다하고, 사내벤처 활성화를 통한 신한카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신한카드 사내벤처 페이데이즈 로고
신한카드 사내벤처 페이데이즈 로고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