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포항제철소. 연합뉴스
포스코 포항제철소. 연합뉴스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청소 작업자들이 화학물질로 추정되는 가스를 들이마시고 쓰러지는 사고가 나면서 세 번째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0일 오후 1시 30분경 경북 포항시 남구 제철동 포스코 포항제철소 STS 4제강공장 야외에서 슬러지(찌꺼기) 청소작업을 하던 용역업체(하청) 직원과 포스코 직원 등 6명이 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사고로 청소 용역업체 직원 3명이 심정지 상태로 치료를 받게 됐으며 현장에 있던 또 다른 3명도 호흡곤란 등 부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됐다. 이후 심정지 상태였던 하청 직원 1명이 자발순환으로 회복한 상태다.

다만 포스코 측과 경찰은 사고 발생 후 피해 인원수 등에서 소방 당국과 다소 차이가 나는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있어 정확한 사고 개요와 피해 규모 등을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경찰 측은 이번 가스 흡입 사고로 청소업체 직원 2명과 포스코 자체 소방대원 4명 등 6명이 피해를 봤으며 이 가운데 50대인 청소업체 직원 2명이 심정지 상태로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하청업체는 이날 사고로 40대인 포스코 직원 1명과 청소업체 직원 2명 등 3명이 가스를 흡입해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2명이 심정지 상태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당국은 이번 사고가 일산화탄소 질식에 따른 것으로 보고 정확한 사고 원인등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포항제철소에서 올해 들어서만 벌써 세 번째 협력업체 직원들의 사고가 발생하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불과 얼마 전 포항제철소에서 인명 사고가 있었는데 또 인명 사고가 났다는 건 안전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결여돼 있는 걸로 보인다"며 "포스코가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5일에도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압연부 소둔산세공장에서 포스코DX의 하도급업체 소속 근로자 4명이 전기 케이블 설치 작업을 위해 화학물질 배관을 밟고 이동하던 중 배관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유해 화학 물질에 노출된 A(50대)씨가 병원으로 이송돼 숨졌고 나머지 20∼30대 근로자 3명은 화상을 입었다.

올해 3월에는 포항제철소 냉연공장에서 포스코 자회자인 포스코PR테크 직원 B씨(40대)가 수리 작업 중 설비에 끼이는 사고가 났다. B씨는 의식을 잃은 채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포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