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0억 원 규모 계약...2018년 1차 양산에 이은 두 번째 사업
KAI “골든타임 확보로 국군 장병과 국민 생명 지키는데 기여할 것”

하늘을 날고 있는 의무후송전용헬기(메디온). KAI 제공
하늘을 날고 있는 의무후송전용헬기(메디온). KAI 제공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지난 20일 방위사업청과 약 1630억 원 규모의 ‘의무후송전용헬기 2차 양산사업’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약은 의무후송전용헬기와 기술교범, 수리부속 등 통합체계지원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계약 기간은 오는 2028년 12월까지다.

2차 양산사업으로 생산될 의무후송전용헬기는 응급환자 골든타임 확보 및 국가적 재난 발생 시 환자 후송·구호 등을 중점 지원할 예정이다.

하늘의 엠블런스로 불리는 의무후송전용헬기는 수리온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전문 의료장비를 장착하여 응급환자의 신속한 후송과 응급 처치가 가능하다.

지난 2018년 12월 체결된 1차 양산사업으로 생산된 의무후송전용헬기는 현재 육군 의무후송항공대에 전력화되어 운용 중이으로 군의 응급 후송뿐만 아니라 국가 재난 시 의료·재난 구조 임무 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 및 복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실제 지난 10월 서해 최북단 대청도에서 강풍주의보로 인해 소방헬기 운항이 제한되자 의무후송항공대가 의무후송전용헬기를 투입하여 뇌졸중 의심 응급환자를 긴급 이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2차 양산 헬기에도 1차 양산과 동일하게 자동 높이 조절 기능을 가진 △들것받침장치 △산소공급장치 △심실제세동기 △환자감시장치 △인공호흡기 등 다양한 전문 의료장비가 장착될 예정이다.

또한 후송 중 중증 환자 2명의 응급처치가 가능하고 최대 6명의 환자를 동시에 후송할 수 있다. 여기에 ‘외장형 호이스트’를 장착해 산악지형 등 착륙이 제한되는 상황에서도 원활한 구조 임무가 가능하다.

특히 장거리 임무 수행을 위한 ‘보조연료탱크’가 장착되어 도서·산간 지역 응급환자 발생 때 골든타임 내 신속한 환자 후송과 응급조치 능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KAI 관계자는 “이번 의무후송전용헬기 추가 양산은 서북도서 및 영동지역 등 도심지와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는 응급환자를 최단기간 내 최적의 의료기관으로 이송하여 국군 장병들과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을 지키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경남=김기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