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전기자동차와 신에너지 자동차의 판매량은 77만 대, 보유량은 이미 160만대를 넘어 전세계의 50%를 차지했다"

완강(萬鋼) 중국과학기술부 부장이 지난 10일 제 1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1차 회의의 기자회견에서 세계 전기자동차시장의 주도권을 자국이 쥐고 있음을 강조한 말이다. 일촉즉발의  미·중 무역전쟁의 핵심은 전기자동차를 포함해 오는 2025년까지 10대 제조업을 최첨단화하려는 중국의 '제조 2025년'계획에 대해 미국의 위기감이 발동한 데 따른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중국의 이 계획에는 IT와 로봇, 항공우주, 철도, 전력, 신소재, 의료 등을 세계 1~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내용이 담겨있다.

<br>

세계 최대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의 차세대 전기자동차시장이 무한 질주 중이다. 중국은 특히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이하 EV)의 대중화를 선언, 독일, 미국, 영국, 일본 등 전기자동차 선진국과 한치 양보없는 각축을 벌이는 중이다. 이들 국가 가운데 차세대 전기자동차산업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곳은 바로 ‘중국’이다. 

중국 정부는 EV를 전략성장사업으로 육성중이며 국가차원에서 대중화에 앞장선다. 특히 기술력까지 갖춘 중국 EV 벤처 기업의 약진은 눈부실 정도다. 중국의 대표적 인터넷 3인방인 알리바바와 바이두, 텐센트 등은 수조원을 투자, EV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 중이다. 

◆ 중국, 전세계 EV시장 중심 …미국 추월 '훨훨'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수요 급증과 각국의 EV 장려 정책까지 더해져 EV로의 전환은 빠르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지난해 6월 발표한 ‘2017 글로벌 전기차 전망’(EV global EV outlook 2017)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전세계 EV(순수 전기자동차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누적 판매 대수(보유대수)는 200만대를 돌파했다. 국가별로 중국이 가장 많은 65만대로 전체의 32%를 차지하며 미국, 일본, 노르웨이 순으로 이어진다.  

또 자동차 통계 사이트 이브이 세일즈(EV Sales)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전세계 EV 판매 대수는 연간 122만대로 전년 대비 58% 급성장했다. 122만대 가운데 약 58만대, 즉 전체의 40% 이상이 중국에서 판매됐다. 이들 데이터와 중국정부가 발표한 EV 국내 판매대수(2015년~2017년)를 합산할 경우 2017년 말 기준 세계 EV 판매대수는 약 323만대이며 중국이 이중 38%에 해당하는 123만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주목할 사실은 중국이 앞서고 있는 것이 보유대수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브이 세일즈가 발표한 수치에 따르면 지난해 판매된 EV 상위 20개 차종 가운데 9개 차종을 중국 업체들이 차지했다. 특히 판매량 7만 8079대로 전기차 강자 ‘테슬라’를 제치고 최고의 자리에 오른 BAIC(베이징 자동차)가 크게 약진하며 업계의 이목을 모으고 있다. TOP20에 랭크된 중국 차종의 총 판매대수는 30만대에 달한다. 

◆ 中, 국가주도 신에너지차 시대 선도 

2017년 자동차 시장에서 EV 점유율은 2%에도 미치지 못했지만 2030년이면 신에너지 자동차(친환경차,NEV:New Energy Vehicle) 비율이 30%까지 확대될 것이라는 추산도 있다. 신에너지자동차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전기차 (EV), 연료전지 자동차 (FCEV) 등을 포괄한다. 

중국의 EV시장 전문가는 "지금의 세계무역전쟁을 촉발시킨 단초를 제공한 '중국 제조 2025계획'은 지난 2015년 3월 전인대에서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발표했다"면서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은 중국의 '제조 2025' 상에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축으로 설정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 계획에 따르면 오는 2025년까지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를 연간 100만대로 설정하고 자국 내 시장 점유율을 70% 이상 설정했다"며 "이어 2030년까지 연간 판매량 300만대로 자국 내 시장 점유율을 80% 이상 올리는 게 목표다"고 설명했다.

<중국, EV 등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지원책>

 

중국이 세계 전기차 시장을 이끄려는 포부는 단지 계획에 멈추지 않는다. 사회주의에서 국가 주도로 전개하는 전기차 소비 확대와 관련 인프라 구축은 서방 국가에서 구현할 수 없는 것이어서 세계 전기차업계를 긴장케 만든다. 중국은 지난 2015년부터 신에너지 보조금 제도와 의무 판매, 충전설비 의무화를 강력하게 시행 중이다. 보조금제도만을 시행하는 우리나라와 달리 의무 판매제와 충전설비 의무화는 오염일로의 대기환경 개선과 함께 중국 전기차가 세계 시장을 석권하는 기반이 될 전망이다.

 

◆ 신에너지 보조금 제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를 촉진시키는 중요한 정책 중 하나는 신에너지 보조금 제도다. 2016년 기준 1회 충전시 주행 거리가 250km 이상인 전기자동차(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제외)는 대당 약 1000만원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해왔다. 

수요가 예상보다 빠르게 늘자 중국 정부는 2017년~2018년 보조금을 800만원으로 축소한 데 이어 오는 2019년~2020년은 600만원까지 낮출 예정이다. 하지만 향후 보조금이 감소할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우려가 이어져 오히려 판매량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 신에너지차 의무판매제도 


중국은 내달 4월 1일부터 신에너지차 의무판매제도를 도입하고 이를 점차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 이 제도는 3500kg 이하의 자동차를 생산·수입하는 사업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에너지 절약 성능의 향상과 EV 등 친환경차의 의무 판매 비중을 늘리기 위한 것이다. 사업자는 신에너지차 의무판매 비중을 오는 2019년 10%, 2020년 12% 이상 끌어올리도록 했다. 의무판매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다음해 생산·수입 계획을 검토해 관련 인허가에 불이익을 받는다. 

 

◆ EV 충전설비 의무화

 
EV의 대중화를 위한 중국의 충전 인프라 확충이 가열찰 전망이다. 오는 2020년까지 충전 스탠드 1만 2000개소와 충전 설비 480만개 설치를 목표로 한 중국은 앞서 2015년 이후 신축 주거용 건축물의 모든 주차장에 EV 충전 설비 도입 및 도입 공간 확보를 의무화했다. 기존 건축물 역시 대형 공공 건축물과 민간 주차시설에 전 주차대수의 10% 이상에 해당하는 면적을 EV 시설을 위한 공간으로 확보해야 한다.<용>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