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이 다가오면서 양측이 어떤 합의를 끌어 낼 수 있을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시사지 포천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북미 정상회담이 우여곡절 끝에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지만 두 정상이 어떤 종류의 합의를 이룰 지는 여전히 불분명하다고 보도했다.

포천은 북미 정상회담이 진행될 수 있는 방향으로 ▲대화 지속 ▲비핵화 ▲북한의 양보 ▲미국의 양보 ▲위험 심화 ▲관계 개선 ▲결렬 등 7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포천의 보도에 따르면, 우선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비핵화에 관한 결정은 유보하되 대화를 지속하자고 회담의 결론을 내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분석이다. 선언이나 정식 협정을 통해 양측 모두 평화를 원한다고 명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준의 합의가 이뤄질 경우 북한이 일부 제재 완화를 대가로 핵미사일 실험 유예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이 나온다. 미국 입장에서는 북한이 한국과 일본을 위협하는 단거리 미사일에 관한 약속을 추가적으로 하길 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북미 간 이견을 고려할 때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첫 회담에서 비핵화를 둘러싼 모든 측면을 합의하는 건 비현실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비핵화 이행 기간에도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에겐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폐기 또는 생산 제한을 약속하고 핵무기 개발에 쓰이는 원료 비축량도 제한하겠다고 약속한다면 좋은 거래를 했다고 볼 만하다고 포천은 보도했다.

다만 관건은 검증이다. 협상의 성공 여부는 김 위원장이 어느 수준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EA) 등 사찰단의 북한 핵시설 접근을 보장하느냐에 달려 있다는 설명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무기 폐기를 유도하기 위해 김 위원장에게 즉각적이고 실재적인 여러 보상을 제공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의 대북 제재 완화나 주한 미군 규모 축소를 검토할 수 있다.

미국이 한반도에서의 군사 훈련 규모와 범위를 축소하고 북한도 군사 훈련을 자제하는 방안이 도출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합의가 이뤄져도 북한 핵시설 사찰과 미국의 대북 경제 지원 방식을 놓고 이견이 불거지면서 과거처럼 거래가 무산될 위험도 간과할 수 없다. 때문에 트럼프가 지나치게 북한에 양보를 하면 추후 미국의 영향력이 제한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국과 중국도 미국 입장에서는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들 국가가 적극적으로 대북 경제 지원에 나서면 핵문제를 놓고 북한과 흥정을 하려는 미국의 노력이 빛바랠 것이란 우려가 있다는 설명이다.

북미 정상회담이 끝내 열리지 않거나 개최된다고 해도 합의가 결렬될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변덕스러운 협상 방식이 일을 그르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