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잘 못하고 절차에만 집착..", "강대국의 눈치만 살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오는 25일 방한을 앞두고 국내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는4.13 총선 이후 여권에서 '반기문 대망론'이 다시 부각되는 시점에서 제주와 수도권, 대구경북(TK) 지역을 오가는 등 광폭 행보를 예정하고 있기때문이다.

이러는 가운데 국내 여론동향과는 달리 세계적 권위지인 영국 <이코노미스트> 최신호는 21일(현지시간) 새누리당 친박이 차기대선후보로 영입하려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 대해 "실패한 총장이자 역대 최악의 총장 중 한 명"이라고 혹평했다.

이 매체는 “반기문 총장이 10년 동안 임기를 누릴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우수한 능력과 자질을 갖췄기 때문이 아니다”면서 “거부권을 가진 5개 상임이사국이 반대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무난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말을 잘 못하고 절차에만 집착하고 현안에 대한 빠른 대처 능력이나 업무 깊이도 부족하다."며 "임기 9년이 지났는데도 '점령' 같은 논란이 되는 용어를 쓰는 실수도 했다"면서 "가장 활기 없는, 최악의 총장 중 한 명"이라고 악평을 쏟아냈다.

또한 이코노미스트는 "후임 총장은 '동유럽 출신의 여성이어야 한다'는 말이 있는데 지역이나 성별이 아니라 수많은 난제가 있는 유엔을 잘 이끌 능력이 있는 사람이 돼야 한다"면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후보로 나선다면 공개적으로 지지하겠다"고 주장했다.

한편 다른 외신들도 반 총장에 대해 '존재 없는 인물'로 평가하며 낮은 점수를 줬다. 뉴욕타임스는 사설을 통해 반 총장이 중요한 국제 현안에 대해 제때 필요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며 "힘없는 관측자" "어디에도 없는 남자"라는 별명을 붙였다.

뉴스위크도 "핵 확산의 위협이나 난민위기에도 관심을 표시하지 않은 반 총장 덕분에 UN은 유명무실한 존재로 전락했다"고 평가했고, 월스트리트저널 역시 "반 총장은 서구의 이해를 받지 못할까봐 두려워했다"며 소신있는 정책을 펴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사진=뉴시스>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