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 신성장산업, 블루이코노미 등 대거 반영
김영록 지사, "국회 심의과정에 반영되도록 국고확보에 총력"

[광주-전남 차정준 선임기자] 전라남도의 내년 정부예산안에 국비 7조5천131억원이 편성됐다.
전남도는 이번 예산안에 SOC, 미래 신성장산업 등 지역 현안과 블루 이코노미 핵심사업이 대거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예산안은 지난해(7조1천782억여원)보다 3천300억여원이 늘어난 규모다. 전남도는 이에 대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정부예산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김영록 도지사를 비롯한 모든 공직자가 정부 정책에 맞는 사업을 적극 발굴해 각 정당 지도부와 지역 국회의원, 중앙부처, 재정당국을 집중 방문해 설명한 것이 주효했다"고 자평했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먼저 SOC에는 28개 사업에 8천640억 원이 반영됐다. 광주송정~순천 간 경전선 전철사업에 1천200억원을 확보해 보성~순천 구간을 패스트트랙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광주송정~목포 간 호남고속철도 2단계에도 2천617억원을 확보했고, 광주~완도(전남 서남부) 간 고속도로 1단계 사업에도 1천800억원이 반영됐다.
연구개발(R&D) 분야에서는 초강력 레이저연구시설 구축 타당성조사 용역 5억원 등 12개 사업 245억 원이 반영됐다. 1조 원대에 달하는 초강력 레이저 연구시설을 대형연구인프라 불모지인 전남에 유치하기 위한 첫 단추를 끼웠다.
에너지전략산업 분야는 EV전주기 탄소중립 환경정보체계 구축·운영, 전력기자재 디지털전환 기반 구축 등 21개 사업 554억 원을 확보했다. 2050 탄소중립과 에너지 대전환시대 대응 기반을 조성하고 에너지 분야 중소기업을 지원한다.
전남 제조업의 핵심 거점인 광양만권 산단 대개조 사업은 소재부품 공정혁신 시뮬레이션 센터 구축 80억 원 등 21개 사업 977억 원이 확정됐다. 저탄소·지능형 산단으로 탈바꿈한다. 또 수소 추진 레저어선 및 기자재 개발 19억 원 등 8개 사업 796억 원이 반영, 전남 친환경선박 클러스터 조성에 탄력을 받게 됐다.
바이오·백신산업 분야에서는 m-RNA 백신 실증지원 기반 구축사업 14억 원 등 13개 사업 415억 원이 포함됐다.
농·수산 분야는 64개 사업 3천996억원을 확보했다. 김치 전문생산단지 조성에도 4억원이 반영됐다. 내년 종료될 어촌뉴딜300 후속사업으로 어촌·어항 재생사업비 39억 원이 반영됐다.
이밖에 신안 추포도 갯벌 생태계 복원 14억원, 순천 화포해역 갯벌 생태계 복원 24억원도 확보했다.
관광·문화 분야에서는 남부권광역관광개발기본계획 수립용역 10억원, 한국섬진흥원 설립 47억원, 전남 디지털 애니메이션 센터 건립 2억원 등 15개 사업 772억 원이 반영됐다.
광양항 3-2단계 자동화 '컨' 부두와 여수∼남해 해저터널, 신안 추포∼비금 연도교 등 건설 사업비는 내년 조기착공을 위해 국회 심의단계에서 반영되도록 적극 노력하기로 했다. 또한 전라선 고속철도건설, 해상풍력 지원부두 및 배후단지 개발 등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으로 신속히 선정되도록 강력 건의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9월부터 국회 대응체제로 본격 전환할 예정이다. 국고확보 국회 대응 전략보고회를 시작으로 지역 국회의원 예산정책간담회, 각 정당 지도부, 예결위원 등을 찾아 국비 확보의 당위성을 집중 설명할 방침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전남도가 건의한 현안 사업과 블루 이코노미 핵심사업이 정부 예산안에 대거 반영됐다”며 “추가 발굴한 사업은 국회 심의과정에서 최대한 반영되도록 국고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