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서울시 강남·구로·성동 등 3개 자치구도

▲'2021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2021)'의 대전광역시 전시관. (사진=이준혁 기자)
▲'2021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WSCE 2021)'의 대전광역시 전시관. (사진=이준혁 기자)

서울시와 대구시 대전시 부천시 안양시가 스마트도시로 선정됐다. 또 서울시 강남·구로·성동 등 3개 자치구도 스마트도시 대열에 올랐다.

국토교통부는 10일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에서 이들 8개 지자체에 대해 스마트도시로 선정, 인증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들 도시는 올해 스마트도시 인증 공모에 참여한 30개 지자체 가운데 지능화시설, 정보통신망, 도시통합운영센터 등 스마트 기술과 함께 제도적 기반 구축이 우수하고, 공공·민간 데이터 활용 등에서도 양호한 평가를 받았다.

서울시는 도시 곳곳의 복잡다기한 도로시설물을 하나로 통합해 공공 와이파이, 지능형 CCTV,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폴'과 서울 전역을 가상공간에 복제한 '디지털 트윈 에스맵', 시민들에게 유용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울교통정보센터 토피스(TOPIS) 등에 힘입어 스마트시티로 인증받았다.

대구시는 지역 내 지능화시설, 정보통신망, 도시통합운영센터 등 스마트 기술과 인프라를 갖춘 데 이어 스마트도시 추진 체계와 제도를 구축하고,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 활용이 양호했다는 게 국토부의 평가다.

대전은 대덕특구 내 연구원들의 스마트시티 기술을 중소기업이 이전받아 도시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사업을 지원하고,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활용한 전기화재 사고 예방시스템 구축 등 스마트 챌린지사업, 광역 도시통합운영센터 운영 등이 스마트도시 인증에 한몫했다.

부천시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운영하는 민관합동법인(SPC)을 설립, 교통·환경·안전 등 스마트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시티패스’, 민간과 공공주차장을 통합하고 예약·결제 등을 원스톱으로 처리하는 공유주차 시스템 구축 등에 힘입어 스마트도시 반열에 올랐다.

안양시는 경기도 내 16개 도시 운영센터 간 연계를 통해 광역적 도시안전망을 구축하고 있고, 국가 재난안전통신망을 이용한 IoT 데이터 연계 플랫폼을 구축하여 도시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민간 데이터 협력체계를 통해 버스노선 선정, 상권분석 등 정책에 활용하고 있는 점이 '우수' 평가를 받았다.

강남구는 구청 제공 서비스들을 통합한 ‘더 강남앱’과 QR코드를 통한 코로나 검사 원스톱 서비스 시스템 구축 등이 돋보였다. 구로구는 IoT 감지센서를 활용한 노후 시설물 관리체계와 주민들의 아이디어를 사업화하는 ‘공감 e구로 리빙랩’이 양호했다. 성동구는 정지선 위반 차량과 무단횡단 보행자 경고 기능을 갖춘 스마트 횡단보도, 쾌적한 환경과 도시안전 서비스 기능을 갖춘 스마트버스쉼터 등이 우수 사례로 인정받았다.

인증 주관기관인 국토연구원은 "올해 스마트 인증도시가 스마트 인프라와 기술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정부와 기업간 더 많은 협력, 시민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스마트 서비스간 연계 및 통합플랫폼 구축 등에서 양호했다"며 "우수하였다고 평가하였습니다.

​국토교통부 최임락 도시정책관은 “스마트도시 인증제는 이번에 처음으로 도입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스마트 도시들의 수준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스마트 인프라와 서비스 수준이 열악한 지방 중소도시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고양=스트레이트뉴스 이준혁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