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부동산원,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07.1로 전주와 비슷
전세수급지수도 기준선 상회, 올 가을 전세난 우려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고강도 대출 규제와 기준금리 인상을 동원해도 집값 강세기조가 지속되고 있다. 주택임대차 3법 시행이후 시장에 매물이 사라지고, 서울 강남권 주요 재건축 단지 매수세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13일 조사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107.1로 지난주(107.2)보다 0.1포인트 하락해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매매수급 지수는 부동산원의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매물 건수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것으로,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수요보다 많음을,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공급보다 많음을 뜻한다. 기준선인 100을 넘어 높아질수록 매수심리가 강하다는 의미다.

서울의 경우 정부가 주택공급 계획이 담긴 2·4 대책 발표 한 후 잠깐 매수심리가 진정됐으나 한 주만에 반등, 이번주까지 23주 연속 기준선을 넘어섰다.  지난달 107.9(1주)에서 105.6(4주)까지 하락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이내 다시 반등해 이달 들어서는 107선을 상회하고 있다.

시중은행이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줄이거나 대출을 중단하고, 금융 당국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한 데 이어 추가 인상까지 시사했지만 매수심리는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서울에서는 고가 아파트가 밀집한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이 지난주 104.1에서 106.5로 2.4포인트 올라 서울에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경기는 114.1에서 113.3으로, 인천은 115.3에서 114.3으로 각각 1포인트 안팎으로 내렸다. 다만, 경기는 작년 5월 이후, 인천은 작년 10월 이후 줄곧 이 지수가 기준선을 상회하고 있다.

지방은 105.1에서 105.3으로 상승했고, 경기를 제외한 8개 도는 107.0에서 107.4로 올랐다.

전세는 매물 부족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추석 이후 전세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의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05.8로 전주 대비 0.2포인트 내렸지만 지금까지 1년 11개월 동안 계속 기준선을 웃돌고 있다.

경기는 106.6에서 106.4로 0.2포인트 내렸으나 인천은 105.4에서 105.5로 올랐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