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가계부채 대응, 경제.금융상환 점건 등 논의
가계부채 관리방안 10월 중 발표 예정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은 30일 "가계부채 증가세를 최대한 억제하면서 대출이 꼭 필요한 수요자들의 경우 상환능력 범위 내에서 대출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폭넓게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추가적 점검, 논의를 거쳐 보완 후 그 관리방안을 10월 중 발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이날 서울 은행회관에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고승범 금융위원장,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가계부채 대응 방향, 최근 경제·금융상황에 대한 점검 및 향후 정책대응 방향, 주요 대내외 리스크 요인 및 대응 등을 논의했다.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 4명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지난 2월 이후 7개월여 만이다. 고 위원장과 정 원장이 지난달 취임한 후로는 처음이다.
홍 부총리는 "세계경제가 회복 흐름을 이어가면서 위기 대응 기조도 점차 정상화 단계로 함께 시도되는 상황"이라며 "동시에 국제유가·원자재 가격상승 등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헝다그룹 문제 등 그간 잠재됐던 리스크도 일부 현재화되는 양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글로벌 공급 병목 해소의 지연 가능성은 물론 최근 미국 부채한도 협상 및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경계감 등에 따라 국내외 금리가 상승하고 주식·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모습"이라며 "앞으로 이런 대외 리스크가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또 "대내적으로도 불균등 회복에 따른 격차 확대, 취약계층 및 한계기업 기초체력 약화, 부동산·가계부채 등 유동성 확대에 따른 문제가 경제회복 과정을 불안정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