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문건 유출'사건과 최씨 딸 이대 특혜입학 등 ···국정농단 의혹 조사

'최순실 국조특위'는 오는 14일부터 3·4차 청문회를 열어 세월호 7시간 행적에 대해 집중 조사한다(사진=뉴시스)

국회 '최순실 국조특위'는 14일부터 사흘간 제3·4차 청문회와 현장조사를 진행한다.

오는 14일에는 3차 청문회를 열어 세월호 참사 당시 박 대통령의 행적과 관련된 의혹을 조사할 예정이다. 이날 증인은 모두 16명이다.

국조특위는 세월호 당일 박 대통령이 의료 시술을 받았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조여옥 전 대통령 경호실 의무실 간호장교와 신보라 전 대통령경호실 의무실 간호장교, 김원호 전 대통령경호실 의무실장 등을 증인으로 불렀다. 대통령 주치의를 맡았던 서창석 서울대병원장과 이병석 세브란스병원장도 증인으로 채택됐다.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과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 등 세월호 참사 당시 청와대의 보고 상황을 증언할 수 있는 당사자들도 국회 증언대에 설 예정이다. 최순실 국정농단의 실태를 밝힐 수 있는 윤전추·이영선 청와대 행정관도 증인 명단에 포함됐다.

오는 16일에는 대통령 경호실과 차움의원, 김영재의원을 방문해 현장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세월호 참사 당일 박 대통령의 '부스스한 머리'를 연출했다는 정송주 미용사와 박 대통령의 행적을 파악하고 있다고 알려진 구순성 경찰관이 이날 참석할 예정이다.

오는 15일 4차 청문회에서는 2014년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의 진상과 최순실 딸 정유라의 이화여대 특혜 입학, 미르·K스포츠 재단 설립 등 국정농단 의혹을 집중 파헤친다.

한편 국조특위는 지난 1·2차 청문회 때 출석하지 않은 최순실과 우병우 전 민정수석 등 핵심 증인들을 3·4차 청문회에 다시 소환할 방침이다.

최순실은 지난 5일 공황장애 등 건강상 이유와 재판상의 이유로 불출석사유서를 제출했다. 지난 7일 국조특위가 발부한 동행명령장에도 불응했다. 이번에도 최순실을 불러내지 못한다면 '최순실 없는 최순실 국조특위'라는 비난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우 전 수석은 고의적으로 자택을 비우며 스스로를 '행방불명' 상태로 만들고, 출석요구서를 수령하지 않는 등 증인 출석을 적극 피하고 있다. 국조특위는 지난 7일 2차 청문회 도중 우 전 수석에게 동행명령장을 전달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