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일주일 사이에 50.3%에서 80.0%로 급증했다. 연합뉴스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일주일 사이에 50.3%에서 80.0%로 급증했다. 연합뉴스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이 일주일 사이에 50.3%에서 80.0%로 급증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31일 1월 4주차 오미크론 검출률이 80.0%로 1월 3주차 50.3%에서 29.7%포인트 높아졌다고 밝혔다.

이상원 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이 "확고한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고 평가했다.

12월 5주차에 4.0%에 불과했던 국내 오미크론 검출률은 1월 3주차에 처음 50%를 넘어 우세종이 됐고 다시 일주일 만에 80%선에 도달했다.

권역별로 90%를 넘은 지역도 있다. 경북권은 93.2%, 호남권은 91.4%의 검출률을 기록했다. 충청권이 80.8%로 뒤를 이었고, 강원권 79.4%, 경남권 77.9%, 수도권 72.1%, 제주권 56.3%를 각각 기록했다.

해외유입 사례도 대부분 오미크론형 변이로 확인됐다. 지난 29일 0시 기준으로 해외유입 사례의 95.8%인 1856건이 오미크론 변이로 파악됐다.

29일 0시 기준 국내 오미크론 누적 감염자는 국내발생 1만 449명, 해외유입 6430명 등 총 1만 6879명이다.

이 가운데 22.6%는 20대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어 30대가 18.6%, 40대 16.7%, 10대는 13.2%, 50대는 11.1%를 각각 점유한다. 10세 미만은 8.9%를 차지하고 60대 이상에서는 60대 5.7%, 70대 1.8%, 80대 1.4%를 각각 차지한다.

위중증률과 치명률은 각각 0.42%, 0.15%를 기록했다. 방대본은 "위중증률 및 치명률은 델타 대비 뚜렷하게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1월 3주차 때 오미크론 위중증 환자(22일 0시 기준)는 국내발생 9명, 해외유입 2명으로 총 11명이었는데, 4주차 들어서는 (29일 0시 기준) 국내발생 32명, 해외유입 3명 등 35명으로 24명 증가했다.

오미크론 감염으로 사망한 사례는 3주차 때는 국내발생 5명, 해외유입 1명 등 6명이었는데, 4주차에는 국내발생 11명, 해외유입 1명 등 12명으로 6명 늘었다.

오미크론 감염자의 백신 접종력을 살펴보면, 33.8%인 5699명은 미접종자로 나타났다. 2.4%(398명)는 1차접종까지만 마쳤고, 48.8%는 2차접종을 완료했다. 나머지 15.0%는 3차접종 완료자다.

한편 '스텔스 오미크론'이 국내에서도 처음으로 6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대본은 앞서 해외입국 확진자의 4.5%가 스텔스 오미크론 변이 감염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는데 국내감염자 중에서도 6건이 발생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에 따라 1월 이후 국내에서 확인된 스텔스 오미크론 사례는 해외유입 25건을 포함해 총 31건이다.

PCR(유전자증폭) 검사에서 다른 변이종과 잘 구별되지 않아 '스텔스 오미크론'으로 불리는 'BA.2' 형은 최근 덴마크, 영국, 인도 등에서 검출이 증가하고 있는 오미크론 변이의 세부계통이다.

방대본은 스텔스 오미크론에 대해 "현재까지 기존 오미크론과 다른 특성 정보는 확인된 바 없으며 지속해서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