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인증 채권 자산운용 조기 매칭
조달금리보다 높은 금리로 운용
교보생명은 지난해 9월 발행한 ‘ESG 인증 신종자본증권(지속가능채권)’에 대한 ESG 매칭 투자를 3개월여 만에 마무리했다고 21일 밝혔다. 당초 1년 소요 예상을 크게 앞당겨 조기 매칭에 성공했다.
앞서 교보생명은 신지급여력제도(K-ICS) 등 자본 규제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4700억 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ESG채권 형태로 발행했다. 생명보험사 중 최초다. ESG채권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선 등 사회적 책임투자를 목적으로 발행되는 채권이다.
교보생명은 지난해 12월까지 신종자본증권 발행자금의 108%에 해당하는 5091억 원에 대한 ESG 투자를 집행했다. 한국기업평가로부터 ESG 인증을 받은 녹색·사회적사업분야 사업에 전액 투자했으며, 재생가능에너지, 친환경 시설, 사회 기초 인프라 투자 등 환경·사회 분야 프로젝트에 분산 매칭했다.
환경 보호와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자금 지원을 확대로 ‘선제적 자본 확충’과 ‘ESG 경영 강화’를 동시에 이뤘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수익률도 괄목할 만 하다. 신종자본증권 조달금리(3.72%)보다 훨씬 높은 4.10%의 운용금리로 성공적 투자를 이뤘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신종자본증권의 ESG 매칭 투자를 조기에 성공함으로써 ESG 경영에 앞장서고 장기 안정적인 투자 수익률도 확보했다”며, “이를 통해 재무건전성 확보는 물론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발전하는 투자 환경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확대된 자본 안정성 덕에 국내외 신용평가사들이 교보생명의 신용등급도 높게 유지 중이다.
지난해 무디스는 교보생명의 보험금 지급능력평가 신용등급을 7년 연속 국내 금융사 중 최고등급인 A1으로 결정하고, 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피치 또한 9년 연속 A+등급을 유지했으며, 국내 3대 신용평가사 모두 최고등급인 트리플A(AAA)를 부여했다.
교보생명이 지난 2017년 해외 시장에서 5억 달러 규모의 신종자본증권을 발행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다. 올해는 2017년에 발행한 신종자본증권의 조기상환이 가능해, 해외에서 신종자본증권을 차환 발행을 검토 중이다.
교보생명은 관계사들과 함께 ESG경영에 속도를 더하고 있다.
지난해 5월 교보증권, 교보라이프플래닛생명, 교보악사자산운용, 교보자산신탁 등 금융 계열사와 탈석탄 금융을 선언하고, 지난해 4월에는 ESG 경영 전담부서를 신설, 올 1월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의 지속가능보험원칙(PSI)에 가입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 기준 사회간접자본(SOC)과 친환경 시설에 9조 원 이상을 투자했으며, 해외 ESG ETF 및 펀드에도 투자도 확대하고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장석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