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한 지 8일째인 가운데 14일 전 산업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지난 11∼12일 회의를 열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다만 양측은 물밑 대화를 이어가는 것으로 전해진다.
국토부는 이날 화물연대 조합원(2만 2000명)의 약 31% 수준인 6800명(경찰 추산)이 전국 14개 지역에서 집회에 참여하며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항만별 컨테이너 장치율(항만의 컨테이너 보관능력 대비 실제 보관된 컨테이너 비율)은 72.7%로 평시(65.8%)보다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부산항과 울산항 등 일부 항만에서는 국지적인 운송 방해 행위 등으로 평시보다 반출입량이 감소했다.
인천항 컨테이너 터미널의 경우 이날 오전 10시 기준 장치율이 83.3%로 지난달 동 시간대(79.1%)보다 4.2%포인트 높아져 이번 파업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인천 신항에서는 장치율이 93%를 넘어선 터미널도 나왔다.
국토부는 자동차, 철강, 시멘트 등 일부 품목에서 생산·출하량이 감소하는 등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현대차 울산공장의 일부 생산라인이 가동과 중단을 반복하는 등 불안한 모습이다. 보이고 있다.
정부와 화물연대는 지난 주말과 휴일 이틀 연속으로 마라톤 대화를 이어갔으나 성과를 내지 못했다. 양측은 이후 공식적인 협상 자리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
양측은 현재 진행 중인 공식 대화는 없다고 밝혔지만, 실무선에서는 물밑 대화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화물연대는 이번 파업에서 '안전운임제'의 일몰제 폐지 및 전차종·전품목 확대와 유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들의 적정임금을 보장해 과로·과적·과속을 방지하겠다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로 '3년 일몰제'로 시행돼 올해 말 폐지된다.
정부와 국회 등에 따르면 지난 실무 협상에서 국토부는 '안전운임제 일몰 3년 연장' 등의 수정안을 제시했고 화물연대도 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물연대 역시 애초 안전운임제의 모든 차종·품목 확대를 요구하던 것에서 한 발짝 물러나 일부 차종·품목으로 확대로 물러서 대화의 물꼬가 터진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양측은 실무 협상 내용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면서 물밑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경기도 의왕 내륙물류기지(IDC)를 찾아 화물연대 파업에 따른 물류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정부의 비상 수송대책 운영 상황을 점검했다.
국토부는 원희룡 장관이 이 자리에서 화물연대 측에 합리적인 주장은 경청하면서도 불법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응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히고 집단운송거부를 철회하고 현업에 복귀할 것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