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아지는 물가와 임금에 부담을 느끼는 편의점 점주들이 무인점포로 전환하는 경우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11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주요 4사(GS25·CU·세븐일레븐·이마트24)의 무인점포 수는 지난달 말 기준 2783개로 집계됐다. 2019년 기준으로 무인점포는 200여개에 불과했으나 근 3년간 대폭 늘었다.
편의점 무인점포는 대부분 하이브리드 형태로 운영된다. 주간에는 사람이 운영하고 야간에만 무인으로 운영한다는 뜻이다.
편의점 업계는 무인점포를 폭넓게 도입하고 싶어하지만 제도나 기술적 한계가 있어 고민이 크다. 무인점포 이용시 매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술과 담배 등의 판매가 제한되고 보안과 매장 관리 등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편의점 업계는 다음해에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주류 무인 자동판매기를 시범 운영할 예정이기도 하다.
편의점 업계의 무인점포 증가는 하반기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최근 편의점 점주들은 최저임금 인상에 부담을 느껴 본사를 향해 심야에 물건값을 더 받는 심야할증제 도입을 촉구하기로 했다. 심야할증제 외에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기 위한 근무시간 조정 움직임도 보인다.
직원 1명당 근무시간을 주 15시간 이하로 낮추게 되면 주휴수당을 지급할 필요가 없어진다. 임금 인상을 감당하기 어려운 만큼 쪼개기 근무도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주 15시간 이하로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자는 의미다.
다만 무인점포가 늘면서 관련 범죄가 덩달아 늘어난다는 점은 문제다.
CCTV 외에 별도의 보안 시스템을 둔 무인점포가 많지 않아 범죄에는 취약하기 때문이다.
보안업체 에스원이 2020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고객사의 무인점포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발생한 절도 범죄가 전년보다 85.7% 늘어났다.
절도범 연령대는 10대가 34.8%로 가장 컸다.
경찰에서 관련 집계를 시작한 지난해 3월부터 같은 해 말까지 무인점포 절도 발생 건수는 3519건으로 파악됐다. 올해 들어서는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1293건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키오스크로 인해 인건비가 들지 않고 운영이 편리하다는 장점 때문에 앞으로도 무인점포가 늘어날 것이라며 업계와 수사당국 모두 범죄 예방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스트레이트뉴스 신용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