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전통시장 상인들이 정부의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폐지 논의에 반발해 집단행동에 나설 전망이다.
국무조정실은 지난 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첫 번째 규제심판회의를 열어 대형마트 영업제한 규제에 대해 논의했다.
정부가 대형마트 의무휴업에 대한 찬반 여론을 먼저 듣겠다는 입장이지만, 서울 주요 전통시장에 상인들은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상권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우려하며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경기도상인연합회에 소속된 전통시장·상점가 상인회는 총 120여 곳이 있는데 모든 상인이 의무휴업 폐지에 반대하고 나섰다.
전국 전통시장 가운데 일부 상인들은 반대 현수막을 내거는 등 집단반발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대구 서문시장 관문 2곳에는 '대형마트 의무휴무제 폐지는 전통시장의 고통입니다'라고 적힌 현수막이 내걸려 있다.
인천에서는 전통시장 51곳 가운데 상당수가 조만간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에 반대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집단행동에 나선 예정이다.
인천상인연합회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대형마트 의무휴업 폐지가 현실화할 경우 전통시장에 피해가 클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연합회 소속 상인회 39곳과 공동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에는 현재 전통시장이 365개 있는데, 10%가량을 제외하고는 모두 일요일에 영업하고 있다.
부산시상인연합회 관계자는 "대형마트 휴무제를 폐지하면 주말에 찾아오는 젊은 손님들이 대거 빠져나가 부전시장, 구포시장, 동래시장 등 대형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큰 타격이 예상된다"며 "정부가 일단 한발 물러서는 것을 보고 현수막 설치를 잠시 보류시켰으나 언제든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강원지역 60여 개 전통시장 상인도 동네 슈퍼마켓 등 골목상권에 이어 전통시장이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반대로 대형 유통업계는 유통업계 상황이 달라져 대형마트의 의무휴무는 폐지돼야 하고 소비자 편익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대구의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대형마트 대 전통시장의 대결 구도가 아니라 소셜커머스 등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의 대결 구도"라면서 "이런 상황에서 대형마트에 의무휴무를 강제하는 건 불합리하다. 사회적 논의를 거쳐서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부산의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정부에서 추진하는 사안으로 국민 여론 수렴 결과를 지켜봐야겠지만, 무엇보다 소비자의 편익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