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 , "홈페이지 데이터센터 건립 사실은 이렇습니다"
김포시 구래동 한강신도시에 데이터센터 건립을 허가를 두고 논란이 되고 있다. 민주당 시의원들은 2020년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것 아니냐며 김포시민과 시 행정간 싸움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그러면서 과거 3년 전 민주당 의원들은 그럼 무엇을 하고 있었으며 정하영 전 시장은 왜 알고도 가만있었는지에 곱지않는 시선이다.
또한 이번 논란의 중심에선 민주당 시의원들이 주장하는 "최근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는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크다. 유해성에 대한 시민의 우려와 더불어 대규모 전력 사용으로 인한 전력인프라 문제 또한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는 것에서는 과거로 돌아가서 지역구 의원들은 무엇을 했는지에 의문이 드는 대목이다.
김포시는 논란이 커지자 한강신도시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입장문을 내고 한강신도시(구래동)에 들어설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존재하고 있음을 밝혔다.
시는 "한강신도시에는 지난 2019년 장기동에 들어선 데이터센터에 이어 구래동에 데이터센터 건립이 지난 민선 7기 2021년에 건축허가를 받았다"면서 "해당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해 일부 ▲구래동 지하 1m 깊이 이하 특고압선 매립 ▲유해 전자파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했다.
이어 "시민 여러분께서 우려하시는 해당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 상황 보면, 2020년 9월 25일 교통영향평가 심의를, 2020년 10월 12일 경관위원회 심의를 각각 완료했다"며 "이에 2021년 6월 3일 건축허가가 처리되었으며, 2022년 11월 중 건축공사 착공, 2025년 10월 중 공사 완료 및 가동이 계획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민선 7기에서 건축허가가 완료된 사안이라 한계가 있지만, 민선 8기 김포시는 해당 사안에 대한 대안 모색에 고심하고 있다"고 했다.
시 관계자는 기자와의 전화 통화에서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민원은 없었다면서 지금의 문제는 한전 케이블의 안전과 협의해서 허가가 났다"면서 "법령상 문제가 있었다면 허가를 낼 수 없고 과거에 전자파 측정을 했다"고 되짚었다.
그는 "사실상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며 "시민들은 도로에서 묻은 것으로 두고 이야기가 나오는 것으로 안다, 데이터센터에는 문제가 안 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장기동 E모씨는 "더불어민주당 김포시의회 의원들은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한 유해성 재검증 및 주민 의견 수렴 등 관련 현안 해소를 위해 주민협의체 구성을 촉구했지만 사실상 3년전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없었다는 건, 묵인 혹은 방조가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시와 의회가 소통하고 정치적 이해관계를 따지기 보다 시민의 안전을 우선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시민의 안전을 중요시 하고 삶의 질 향상을 걱정하는 시민의 대표 기관인 의회 의원들이 3년이 지난, 지금에 과거 문제를 제기한다는 건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것 아니냐"고 의혹을 나타냈다.
아울러 "묵은 김치처럼 3년이 지난 현 시점에 논란이 되고 있는건 좀 아이러니 하다"고 꼬집었다.
한편 민주당 모 시의원은 "이건 정치적으로 안 봤으면 한다"면서 "현 시장의 문제가 아니라 집행부의 문제라고 봐 달라"고 주문했다. 그러면서 "시민의 안전을 고려하는 부분이 많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윤의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