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구 직원·주민자치위, 충북 일원 1박2일 워크숍
광산시민연대, "국민 애도 시점에 공직기강 해이"
'이태원 참사' 애도 기간 중에 광주광역시 광산구 관내 주민자치단체가 외유성 행사를 떠난 것으로 알려져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광산구에 따르면 광산구 주민자치과 직원 6명과 주민자치위원 84명은 1일부터 2일까지 충북 단양과 제천 일원으로 '2022 광산구 주민자치위원 워크숍'을 떠났다.
광산구 공문에 따르면 이번 워크숍은 '생활자치를 실현하는 주민자치위원 격려'와 '강연, 유공표창, 소통을 통한 역량강화' 등의 목적으로 추진됐다. 워크숍 중에는 특강과 유공자 표창도 포함됐다.
하지만 이들의 일정을 살펴보면 주요 방문처가 단양 고수동굴, 청풍호 유람선 체험, 관광 모노레일 등 대부분 관광 코스로 짜여져 애초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산시민연대(수석대표 : 임한필)는 2일 보도자료를 통해서 "이태원 사고로 156명이 사망하고, 147명이 부상을 입은 충격적인 일로 온 국민이 애도를 표하고 있는 시점"이라며 "주민자치에 모범을 보여야할 주민자치위원과 담당 공무원이 보란듯이 '외유성 워크숍'을 떠난 것은 공직기강 해이의 전형"이라고 비판했다.
광산구는 이태원 참사 발생한 이후 지난달 31일 박병규 구청장 주재로 긴급 점검회의를 소집하고 애도 기간 예정된 관내 행사와 축제를 취소 또는 연기하기로 했다.
이같은 방침에 따라 이 기간 관내에서 개최 예정이었던 양궁체험장 개장식, 클래식 가을밤 음악회 등 다수 행사가 취소되거나 연기된 상황이다.
하지만 이같은 방침에도 혈세를 투입해가면서까지 구청 직원이 동반한 외유성 행사를 강행할 정도로 행사가 불가피했느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시민연대에 따르면 이번 워크숍에는 약 3000만원의 예산이 지원된 것으로 알려졌다. 광산구가 주민자치회에 해마다 지원하는 예산은 약 8억원(동별 4~5천만원)으로, 간사 인건비, 센터 프로그램비, 주민총회 등 사업비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광산구는 이같은 지적에 대해 "행사 1일전 취소와 재추진함에 있어 애로가 있어 애초 일정되로 진행하되 경건하게 추진하기로 했다"고 해명했다.
[광주·전남=차정준 선임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