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연합뉴스
(왼쪽부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연합뉴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등 국내 주요 기업 총수들이 지난 17일 방한 중인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만나 사우디의 초대형 신도시 프로젝트 '네옴(NEOM) 시티'를 비롯한 경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빈 살만 왕세자와의 차담회는 17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렸다. 이재용 회장과 최태원 회장, 정의선 회장,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정기선 현대중공업그룹 사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해욱 DL(옛 대림)그룹 회장 등 국내 20대 그룹의 총수 8명이 참석했다.

사우디 국영 통신사인 사우디프레스에이전시(SPA)가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이재용 회장이 빈 살만 왕세자의 오른쪽에 앉았고, 그 옆으로 최태원 회장, 정의선 회장, 김동관 부회장 등의 순으로 자리했다. 국내 그룹 총수들의 맞은편에는 압둘아지즈 빈 살만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 등 사우디 측 인사들이 앉았다.

SPA는 "(차담회 동안) 다양한 분야, 특히 에너지, 기술, 산업, 건설, 스마트시티에서 유망한 투자 기회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재계에 따르면 1시간 30분 넘게 이뤄진 이날(17일) 차담회에서는 총 사업비 5000억 달러(약 670조원) 규모의 네옴시티 사업을 중심으로 한 각종 협력 방안이 폭넓게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네옴시티는 빈 살만 왕세자가 주도하는 사업으로, 사우디 북서부 홍해 안에 170km에 달하는 직선 도시 '더 라인'(The Line)과 해상 산업단지 '옥사곤', 산악 관광단지 '트로제나' 등을 건설하는 메가 프로젝트다. 도시 인프라는 물론 정보기술(IT), 에너지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기회가 열리면서 치열한 글로벌 수주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이다.

그룹 총수들은 각 그룹의 주력 사업을 토대로 향후 수주 기회와 사업 협력 방안을 두루 모색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용 회장은 빈 살만 왕세자와 개인적인 친분을 바탕으로 네옴시티 사업 수주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은 이미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을 구성해 네옴시티 '더 라인'의 터널 공사를 수주했으며, 지난 8일(현지시간) 첫 발파를 시작으로 공사에 돌입한 상태다. 삼성물산은 한국전력 등과 함께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65억달러(약 8조5000억원) 규모의 그린 수소·암모니아 공장 건설 프로젝트 MOU도 맺은 바 있다.

네옴시티 외에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개발과 원전 관련 사업에 대해 포괄적으로 협력을 강화하자는 대화가 오갔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친환경 에너지 분야를 미래 핵심 사업으로 삼고 있는 SK그룹은 수소를 비롯한 미래 에너지 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보유한 각국의 유수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를 이어가는 중이다. 사우디 역시 석유 중심 산업구조를 벗어나고자 수소 등 친환경 미래 에너지 분야 투자에 주력하고 있다.

현대차그룹도 수소 기반 모빌리티 기술과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해외 업체와 글로벌 수소 공급망을 구축하는 등 수소 생태계 구축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정의선 회장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생태계 구축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사업 등에 대한 협력 방안을 모색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두산그룹의 경우 두산에너빌리티(옛 두산중공업)가 원자로와 증기 발생기 등 다수의 원전 주(主)기기를 국내외에 공급하는 등 원전 설비 분야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져 왔다. 지난 4월에는 미국 뉴스케일파워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제작 착수를 위한 협약을 맺고 원자로 모듈 시제품을 생산해 테스트를 마쳤다.

김동관 부회장은 한화그룹의 역점 사업인 태양광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방산 등의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화는 지난 3월 사우디 국방부와 약 1조원 규모의 방산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이해욱 회장은 DL그룹이 그간 쌓아온 사우디 현지 공사수행 실적을 토대로 건설 부문과 탄소 저감,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 사업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가능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이재현 회장은 한류 콘텐츠 교류와 관련한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CJ는 계열사인 CJ ENM이 지난 6월 사우디 문화부와 MOU를 맺은 뒤 영화, 음악, 공연, 음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협력을 확대하고 문화 교류를 증진하기로 하는 등 문화 교류를 꾸준히 추진해왔다. 아울러 오는 2032년까지 10년간 다양한 문화 행사를 공동 개최하고 문화 콘텐츠에 대한 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오른쪽)가 지난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국내 기업 총수들과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연합뉴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오른쪽)가 지난 1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국내 기업 총수들과 만나 대화를 나누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관 한화솔루션 부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