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취약 독거노인을 위한 AI(인공지능)돌봄로봇 도입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돌봄로봇 서비스가 확대되기 위해선 중앙정부 과제나 시범사업 뿐만 아니라 경기도 차원의 예산지원을 통한 마중물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지가 31개 시·군청 홈페이지 등을 거쳐 종합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5개 기초자치단체에 약 1000대가 보급되었다. 김포시·수원시·광명시 등은 각 150~300대까지 도입해 시범서비스를 실시해 호응을 얻고 있다.
양주시·동두천시 등은 내년에 100대 이상 도입키로 하고 시의회에 예산승인을 신청하는 등 지금까지 도입을 주저했던 지자체의 신규 도입이 늘고 있는 것이다.
2019년 김포시가 한국정보화진흥원 주관 '재가독거노인 스마트 일상생활 지원 서비스' 실증과제에 선정되면서 경기도에서 처음으로 AI돌봄로봇 다솜을 도입했다.
지자체 노인맞춤돌봄서비스 대상인 취약 독거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올해까지 3년간 운영했다. 결과 우울증, 치매, 고독사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자체 입장에선 노인복지 예산 및 생활지원사 인력 부족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았다.
수원시는 국토교통부 주관 ‘스마트시티형 도시재생뉴딜 공모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스마트시티의 한 축인 스마트케어를 위해 AI돌봄로봇 292대를 도입했다. 관계자에 따르면 내년에는 도입을 확대해 500가구 이상에 서비스한다는 계획이다.
AI돌봄로봇은 기존 봉제인형 형태에서 최근 첨단로봇 형태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광명시·안성시·연천군 등은 이 같은 2종류의 제품을 동시에 도입, 비교 평가하는 등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많은 지자체장들의 공약이기도한 'AI, 로봇 등 4차산업혁명 기반기술을 활용한 취약계층 돌봄서비스'는 코로나19 이후 더욱 확대될 수밖에 없는 대표적인 비대면 복지서비스다. 하지만 초기 투자가 필요한 만큼 기초자치단체 자체 예산만으로 충당하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